부산시 ‘新교통문화’ 범시민 운동 펼친다… 교통문화지수 7대 도시 중 꼴찌
입력 2013-03-17 17:31
부산시가 ‘교통문화지수 전국 꼴찌’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신(新)교통문화운동’에 나선다.
부산시는 교통문화 의식함양과 교통질서 확립을 위해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신교통문화운동’ 선포식을 갖고 범시민 운동에 들어간다고 17일 밝혔다.
시가 교통문화 개선을 위해 시민운동을 추진하게 된 것은 부산이 국제도시와 관광도시로 성장하고 있는데도 교통문화는 여전히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국교통연구원 조사 결과 부산의 지난해 교통문화지수는 100점 만점에 78점으로 전국 230개 지자체 가운데 49위이고, 7대 특별·광역시 가운데선 꼴찌다. 반면 시민 1인당 교통혼잡비용은 109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시는 선포식에서 운전자가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교통법규와 시민 체감효과가 큰 신교통문화운동 10대 실천과제를 발표한다. 실천과제는 불법 주정차 안 하기, 버스전용차로 지키기, 교통신호 지키기, 중앙선 준수, 방향지시등 켜기, 안전띠 매기, 버스정류장 정위치 정차, 통행속도 지키기, 나홀로차량 줄이기, 무단횡단 안 하기 등이다.
직업 운전자의 운행질서 개선을 위한 과제도 추진된다. 우선 10인승 이상 승합차(시속 110㎞)와 3.5t 이상 화물차(시속 90㎞)를 대상으로 최고속도제한장치 부착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시내버스와 택시의 최고속도에 대해서도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시내버스는 시속 60㎞(야간 80㎞)로, 택시는 시속 80㎞(야간 100㎞)로 각각 제한하기로 했다. 올해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내년부터 제도적으로 규제할 방침이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