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美 국무, 4월 중순 첫 한·중·일 순방… 본격화되는 동북아 현안 조율
입력 2013-03-15 18:40
미국 중국 한국 일본 등 한반도에 직간접적 이해관계를 가진 4개국 지도부 개편이 마무리되면서 북한 핵문제 등 동북아시아 현안에 대한 조율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미국과 한국은 대통령 선거, 일본은 의회 해산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내각 출범으로 사실상 중요한 외교 안보 현안에 대한 결정이 연기돼 왔다. 중국은 14일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체제가 공식 출범했다.
빅토리아 뉼런드 미 국무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다음달 10∼11일 런던에서 열리는 주요 8개국(G8) 회의가 끝난 뒤 존 케리 국무장관이 한국과 일본, 중국을 방문한다”면서 “3국을 방문하는 동안 케리 장관은 각국의 주요 인사들과 만나 양자 및 다자 이슈, 경제협력 문제 등을 협의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6일 케리 장관은 첫 해외 순방 일정으로 지난달 24일부터 11일 동안 영국을 포함한 유럽과 중동의 9개국을 방문했다.
케리 장관의 순방에서는 북한 핵문제로 긴장이 고조된 한반도 정세가 핵심 사안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 정부는 한동안 이어진 과도기적 상황 탓에 정상적인 외교 협의에 주력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5월 상순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앞두고 양국은 시급히 논의해야 할 외교 현안이 산적해 있다. 박 대통령이 큰 관심을 보이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도 관심사다. 케리 장관은 중국에서는 시 국가주석과 새 외교안보라인을 만나 더 긴밀한 대북 정책 공조를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이날 국가주석으로 선출된 시 공산당 총서기에게 축하전화를 하며 북한 핵 문제를 협의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이 미국은 물론이고 그 동맹국과 지역에 위협이 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이행하기 위한 중국과의 긴밀한 협조가 중요함을 지적했다고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전했다.
카니 대변인은 “아시아와 세계 전반에 걸쳐 경제와 안보적 도전에 직면해 중국과의 실질적인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면서 “양국 정상은 양국 간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높은 차원의 교감과 개입의 중요성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강조했다.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부 부장관도 17일부터 21일까지 일본 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4개국을 방문해 광범위한 안보도전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고 국방부가 이날 밝혔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