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용산개발 정상화 방안 제시… “기존 주주간 협약서 폐기·시공권 회수하겠다”

입력 2013-03-15 18:19 수정 2013-03-15 23:36

코레일이 기존 주주 간 협약서 폐기 및 시공권 회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정상화 방안을 제시했다.

코레일은 15일 서울 청파로 사옥에서 자사를 포함한 용산개발 시행사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의 30개 민간 출자사 중 27곳을 대상으로 이를 설명했다. 코레일은 드림허브 이사 10명 중 5명을 자사 임원으로 교체하고, 새 사업계획을 코레일과 SH공사 및 건설출자사 대표가 참여하는 특별대책팀이 맡는 등 주도권을 잡을 계획이다. 삼성물산이 입찰에서 따낸 1조4000억원 규모 랜드마크빌딩(111층) 시공권도 회수해 공사 원가계산 작성 기준으로 공개경쟁 입찰에 부치겠다고 밝혔다.

대신 출자사들이 이를 받아들이면 코레일은 긴급자금 2600억원을 지원하고,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원리금 등 금융권에서 대출받은 2조4000억원도 상환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서울시에는 토지상환채권 인수와 공유지 무상귀속 등 지원을 요청했다. 코레일은 오는 21일까지 민간 출자사 의견을 수렴해 합의서를 확정하고 4월 1일까지 수용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출자사들은 제안을 신중히 검토해 최종 결론을 내겠다는 입장이다. 삼성물산 측도 “시공권을 정당한 사유 없이 포기할 이유는 없다”면서도 “드림허브 이사회 측에서 공식 제안해 올 경우 검토해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코레일은 용산개발 정상화 과정에서 서부이촌동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사업 재개 시 서부이촌동 주민에 대한 우선 보상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서울시와 협의해 생활이 곤란한 영세상인 등에게 긴급 생계자금을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3조원에 달하는 보상비는 분양 매출 등으로 조달할 방침이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