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음자협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 합의

입력 2013-03-14 22:04

서울시와 음식물쓰레기 위탁업체가 처리비용 가이드라인에 합의해 올해 초 ‘음식물쓰레기 대란’으로 번질 뻔했던 사태가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음자협)와의 협상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을 t당 11만∼12만원대로 합의하고 자치구와 업체가 계약을 체결하는 데 적극 협조키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민간업체에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탁해 온 15개 자치구는 앞으로 이 기준 범위에서 업체들과 개별 협상을 벌여 처리단가를 결정하게 된다. 이번 기준가격에는 음식물쓰레기 운반비용은 제외돼 있다.

시는 환경부가 지난 1월 25일 내려 보낸 기준을 참고하고 민간업체의 폐기물 처리방식, 처리시설 규모, 물가인상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각 자치구와 업체들은 그동안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 인상을 놓고 갈등을 빚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로 인해 수거지연 사태까지 빚어졌다.

업체들은 올해 음식물쓰레기 폐수의 해양투기 금지로 처리비용이 급증했다며 t당 7만∼8만원대 단가를 13만원대까지 인상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자치구들은 이들의 요구가 지나치다며 11만원대를 제시해 타결이 지연됐다.

시와 음자협이 가이드라인에 합의해 사태 해결의 실마리는 풀렸다. 하지만 각 자치구와 민간업체 간 개별 협상 과정에서 다시 줄다리기가 이뤄질 가능성은 남아 있다. 시는 어떤 경우라도 시민의 불편이 없도록 음식물류폐기물을 차질 없이 처리하기로 음자협과 합의했다고 밝혀 음식물쓰레기 대란 사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을 보인다.

시에 따르면 현재 각 자치구는 올해 예산에 음식폐기물 처리비용을 평균 t당 9만원 정도로 반영했다. 인상분에 따른 추가 재정 부담액은 총 112억원(자치구별 7억40000만원)으로 예상된다.

시는 자치구별로 음식폐기물 감량사업을 15% 이상 목표로 추진하면 비용이 92억원 가량 절감될 것으로 판단, 30억원을 인센티브 사업비로 확보해 감량실적에 따라 지원할 방침이다.

임옥기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음자협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음식물폐기물 자원화 시설을 확충하고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