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당, 대여투쟁보다 쇄신에 매진해야

입력 2013-03-14 20:34

민주통합당이 어수선하다. 지난 1월 중순부터 가동된 당 정치혁신위가 내놓은 혁신안 초안을 놓고 계파 간 평가부터 엇갈리고 있다. 한 예로, 당 대선후보 및 지도부 경선에 소위 ‘민주서포터스’를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비주류 측은 “주류인 친노의 기득권을 연장하기 위해 ‘변종’을 내놓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선 3개월 전에 등록하면 선거인단 자격을 주는 민주서포터스는 기존의 모바일 선거인단과 유사해 여론몰이에 능한 친노에 유리하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친노는 지지자들의 의견을 중시하는 게 옳다며 민주서포터스 도입을 반기는 분위기다.

민주서포터스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관심은 얼마나 될까. 별로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민주당 친노·주류와 비노·비주류의 신경전은 팽팽하다. 그 이면에는 5·4 전당대회가 있다. 지난 대선 때 당을 장악하고 있던 친노·주류는 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을 다시 쥐겠다는 입장이고, 비노·비주류는 대선 패배의 책임을 져야 할 친노가 또 당권을 잡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 초선의원 33명이 14일 기자회견을 갖고 5·4 전당대회에서 특정후보를 돕겠다고 밝힌 것도 계파 갈등의 소산으로 볼 수 있다.

서울 노원병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 의사를 밝힌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와 관련해서도 계파 간에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주류는 대선후보 단일화 과정의 앙금이 남은 탓인지 안 전 교수를 경계하며 민주당도 독자 후보를 내야 한다는 쪽인 반면 비주류는 독자 후보를 내지 않는 게 도리라는 쪽이다. 안 전 교수가 예상보다 빨리 정치권에 복귀하려는 데에는 민주당이 자체 쇄신을 등한시한 것도 한 요인인데, 여전히 정신 차리지 못하고 자기들끼리 티격태격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정부조직 개편을 둘러싸고 새누리당과의 대치가 장기화되면서 “이제 그만 타결짓자”는 등 다른 의견들이 당내에서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대여(對與) 강경투쟁만으로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없다. ‘안철수 바람’도 이길 수 없을 것이다. 자성과 혁신에 더 매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