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권력기관장 인선 왜 늦어지나] 개혁의지·지역안배…조율 난항
입력 2013-03-14 18:21 수정 2013-03-15 04:00
박근혜 대통령이 14일로 예정됐던 검찰총장·국세청장·경찰청장 인사를 특별한 이유 없이 연기하자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국가정보원장을 포함해 4대 권력기관장이라는 점에서 인선을 둘러싼 속사정이 있는 게 아니냐는 얘기다. 지역 안배 등 막판 조율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인사와 관련한 브리핑에서 “현재 외청장 인선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으며 조만간 발표될 것”이라면서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등 5명 인선 명단만 발표했다. 이르면 15일 추가 인선이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누가 새 정부 첫 검찰총장에 오르느냐다. 박 대통령이 대대적인 검찰개혁을 예고한 가운데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가 추천한 김진태(사법연수원 14기·경남) 대검 차장, 채동욱(14기·서울) 서울고검장, 소병철(15기·전남) 대구고검장 중 채·소 고검장의 ‘2파전’으로 압축됐다는 게 중론이다.
전날 차관 인사에서 법무부 차관에 사시 14기인 김학의 대전고검장이 임명되자 채 고검장의 검찰총장 낙점설이 유력하게 돌았다. 검찰총장이 법무부 차관보다 사법시험 또는 연수원 기수가 낮았던 전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대표적 특수통인 채 고검장은 대형수사 경험에다 분석력과 상황 판단력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스폰서 검사’ 진상조사단장을 맡아 검찰개혁에도 어울린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선이 갑자기 연기되면서 소 고검장 발탁설이 다시 나왔다. 장·차관에 호남 출신이 많지 않아 ‘대탕평’ 의지가 약해졌다는 말이 나오면서 박 대통령이 정무적 판단을 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소 고검장은 개혁 마인드를 갖춘 합리주의자로 평가된다. 검찰총장에 오를 경우 선배인 14기는 물론 동기인 15기 검사장들이 자연스레 용퇴하게 돼 검찰개혁 작업에 유리할 수도 있다.
국세청장은 조현관 서울지방국세청장의 낙점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조 청장 고향이 대구라는 점에서 ‘재고 대상’이 됐을 것이란 분석이다. 박윤준 본청 차장, 김은호 부산지방국세청장과 함께 윤영선 전 관세청장과 백운찬 기획재정부 세제실장 등 외부인사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당초 유임이 예상됐던 김기용 경찰청장은 교체될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청 관계자는 “15일 오전 9시 경찰위원회가 소집된다”며 “경찰청장 인선에 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경찰청장 2년 임기를 보장하겠다고 밝혔었다. 지난해 5월 부임한 김 청장은 임기를 13개월 남겨두고 있다. 차기 경찰청장으로는 강경량 경기지방경찰청장, 이성한 부산지방경찰청장 등이 거론된다.
신창호 이용상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