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개발 좌초 직전] 일부 출자사 자본잠식 우려… 부도 위기 내몰릴 가능성

입력 2013-03-13 20:36 수정 2013-03-13 22:15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파산 절차를 밟게 될 경우 일부 출자사들은 자본잠식이나 부도 위기에 빠질 수 있다.

13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용산 개발사업에 들어간 돈은 출자사들의 자본금, 1차 전환사채(CB) 발행 자금 등 총 4조208억원으로 추산된다. 그 가운데 세금과 설계비, 금융조달비용 등 이미 지출돼 회수할 수 없는 사업비용, 즉 매몰비용은 9737억원으로 파산 시 모두 날릴 것으로 관측된다.

최대주주인 코레일은 용산개발이 파산할 경우 자본잠식률이 현재 9% 수준에서 80%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011년 말 현재 코레일의 자본금은 9조5814억원이며, 자기자본은 8조7230억원 수준이다. 여기에는 용산 땅 처분이익 7조2000억원이 반영돼 있으나 용산개발이 물거품되면 자기자본에서 이 7조2000억원을 모두 제거해야 해 결국 자기자본은 1조5200여억원으로 주저앉게 된다. 다만 국토해양부는 용산개발의 부도에도 코레일은 보유 자산의 재평가를 통해 재무상태 개선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지분 15.1%를 보유하고 있는 2대 주주 롯데관광개발은 사업이 파산하면 회사 존립 여부가 불투명하다. 이미 자본금의 32배에 달하는 1748억원을 쏟아부었기 때문이다. 투자금을 댄 국민연금, 미래에셋, 우리은행, SH공사, GS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출자사들도 고스란히 돈을 날릴 것으로 전망된다.

용산개발사업 파산은 가뜩이나 침체된 부동산 시장의 대형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사업이 무산될 경우 용산개발 지구에 속한 서부이촌동 집값이 폭락해 보상을 기대하고 대출을 받은 일부 주민들의 집이 경매로 넘어갈 가능성도 높아진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개입 가능성에 선을 긋고 있다. 서승환 국토부 장관은 12일 취임 직후 “정부가 예의주시는 하겠지만 현 시점에서 개입할 일은 아니다”고 밝혔다.

한편 코레일은 용산개발을 위해 빌린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과 자산유동화증권(ABS) 원리금을 갚고 땅을 돌려받아 자체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코레일이 원리금 2조4000억원을 모두 갚으면 드림허브 소유로 넘어간 철도정비창 부지를 되찾아오게 된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