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는 대북제재 가속] 美, 北 사이버 공격까지 대비… ‘고립국가’로부터 해킹·사이버 테러 대응
입력 2013-03-13 20:19
미국이 북한발 핵 및 미사일 위협 대응 외에 사이버 공격까지 가상해 자국내 사이버 보안 강화를 서두르고 있다. 여기에 새로운 사이버 전투부대까지 창설하기로 하는 등 이른바 ‘고립 국가(isolated state)’에 대한 전방위 압박에도 나섰다.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12일(현지시간) 상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에서 ‘고립 국가’로부터의 사이버 공격 또는 해킹 위협을 직접 거론했다. 미국 내 모든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정보당국 수장이 이를 소개한 것은 그만큼 상황이 엄중하다는 증거다. 물론 그는 북한을 직접 거론하진 않았지만 미국 정치권에서 고립 국가는 통상적으로 북한 등을 지칭한다. 클래퍼 국장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조만간 미국에 사이버 공격을 감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체가 러시아와 중국은 아닐 것으로 판단했다. 결국 미 정보당국은 미국 내 금융, 에너지 등 주요 산업에 타격을 가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그 공격 주체는 북한 같은 적대적 국가의 정권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미 국방부가 2015년까지 사이버 공격 및 방어 목적의 컴퓨터 작전을 수행할 사이버 전투부대 40개 팀을 창설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사이버 전투부대는 보안전문가들로 구성된 공격부대 13개 팀, 방어부대 27개 팀으로 이뤄진다.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금융기관과 전력망을 방어하되 필요에 따라 외국 적군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무력화하는 방식으로 군의 작전을 지원한다. 이들은 미 태평양사령부, 중부사령부 소속 부대 지원을 맡게 된다. 키스 알렉산더 미국 사이버사령관은 상원 군사위 청문회에서 “이 팀들은 육군이나 해병대의 전투부대, 해군 소함대와 공군의 비행중대 등과 비슷한 형태”라고 소개했다. 미군 사령관이 공개 석상에서 자국의 사이버 공격팀에 대해 인정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미국의 국방·정보당국뿐 아니라 백악관도 사이버 보안강화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상황실에서 사이버 보안 강화 대책 마련을 위해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난다. 때마침 오바마 대통령 부인 미셸 오바마의 금융정보와 개인신용평가 정보까지도 해킹된 것으로 알려져 미 당국의 위기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개인정보가 유출된 인사는 조 바이든 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로버트 뮬러 FBI 국장, 에릭 홀더 법무장관 등 17명에 달한다. 미 비밀경호국(USSS)과 연방수사국(FBI)은 러시아 소재 웹사이트에 개인정보가 올라옴에 따라 수사에 착수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