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는 대북제재 가속] 中 “김정은 비자금 어쩌나”… 문제 불거진 중국내 계좌 제재 포함 싸고 고심

입력 2013-03-13 20:19

중국 지도부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의 비자금을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중국 내에서도 이 비자금을 대북한 제재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 ‘김정은 비자금’과 관련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상하이 본부가 언급하기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인민은행과 가까운 관계에 있는 한 은행가는 “이 문제의 정치적 영향을 고려할 때 인민은행이 조사 착수에 앞서 최고 지도부의 지침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롄구이 공산당 중앙당교 교수는 이에 대해 “북한이 이미 너무 멀리 갔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더욱 강하게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두지펑(杜濟峰) 중국사회과학원 교수는 “중국은 북한에 추가 제재를 가하라는 국제적인 압력에 직면할 것”이라면서 “이는 중국 지도자들에게 딜레마를 가져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두지펑은 “만약 문제의 계좌들이 김정은 개인 계좌라면 중국 당국이 조치를 꺼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이젠(蔡健) 푸단대 교수는 “중국이 이 문제에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이라며 제재를 가하기 전에 이 자금의 목적을 검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12일 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상황은 모른다”면서 “중국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자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국제법에 따라 관련 문제를 처리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중국 은행업계는 한국과 미국 정부가 확인했다는 가·차명 계좌가 개설된 은행은 상하이에 본부를 둔 은행 외에 다른 도시에 본부를 둔 은행들의 상하이 지점, 외국 은행의 상하이 지점도 포함된 것으로 보고 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