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SO 관할 업무 미래부 이관 조건 특별법 제정 긍정 검토… 정부 조직법 협상 다시 분수령
입력 2013-03-13 20:14
정부조직 개편 협상이 중대 기로에 섰다. 새누리당이 마지막 쟁점인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관할 업무를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하는 대신 야당이 요구하는 방송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특별법 제정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새누리당이 민주통합당의 수정안을 받아들일 경우 교착상태에 빠졌던 정부조직 개편 협상은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높다.
새누리당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 직후 비공개로 진행된 지도부 간담회에 참석한 복수의 관계자들에 따르면 정부조직 개편 협상에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해온 이한구 원내대표가 민주당의 수정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한 중진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 원내대표가 정부조직 개편 협상과 국회선진화법 논란에 대해 한발 물러선 태도를 보였다”면서 “오늘내일 중에 협상이 타결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간담회 내용을 전했다.
이 원내대표가 양보 의사를 밝힌 부분은 지난 8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합의한 ‘방송공공성 확보 방안(기구 및 법률)’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새누리당이 ‘SO 인허가권 및 법률 제·개정권을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하는 대신 방송 중립성을 확보하는 장치를 마련한다’는 기존의 원론적인 입장에서 나아가 중립성 확보 방안을 명확히 한 것이다. 그간 이 원내대표는 방송공공성 확보를 위한 특위 구성엔 동의하지만 별도의 특별법 제정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이 SO 관할 이관의 주요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공영방송 이사 선임에 있어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 조항 신설 논의가 가능하게 돼 정부조직 개편 협상이 탄력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물밑협상에 나선 민주당 측도 “마지막 쟁점인 SO 이관 문제만 남았는데, 새누리당 측이 방송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을 마련해 오면 SO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민주당은 물밑협상과 달리 겉으로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야(對野) 공세에 강력 반발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비상대책회의에서 전날 박근혜 대통령이 벤처기업을 방문해 “방송통신 융합분야는 타협과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압박한 데 대해 “대통령은 이미 승리하신 분 아닌가. 더 싸울 대상이 아직 남아 있느냐”고 반박했다. 회의에선 박홍근 비대위원이 “여당을 ‘쪼다여당’으로, 야당을 ‘바보야당’으로 만들어야 직성이 풀리느냐”고 거칠게 박 대통령을 비난하기도 했다. 아울러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사퇴’ 촉구도 이어졌다. 설훈 비대위원은 “김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면 정국은 초긴장 상태가 될 것이고, 우리는 결사 항전하는 길밖에 없다”며 으름장을 놨다.
유동근 백민정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