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전방위 압박에… 보험료 인상 없던일로
입력 2013-03-12 17:55 수정 2013-03-12 22:18
보험사들이 실손의료보험 등 보장성 보험의 갱신 보험료 대부분을 동결키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당국의 전방위 압박에 보험업계가 결국 꼬리를 내린 셈이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12일 “4월부터 표준이율 인하로 보장성 보험은 보험료 인상 요인이 생기지만 정부와 금융당국의 방침에 따라 일단 보험료를 동결하기로 했다”며 “보험사 대부분이 내부적으로 동일한 결정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보험사 임원들을 불러 실손보험료 동결 등 보험료 인상 억제를 주문했었다.
한화생명 관계자도 “보험료 조정에 대한 검토를 중단한 상태”라며 “당분간 보험료 인상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삼성생명을 비롯한 다른 보험사들도 보험료를 동결하는 쪽으로 의견을 정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생명보험회사들은 당초 최대 10%까지 보험료 인상을 고려했었다.
손해보험사들도 실손보험료를 60% 이상 인상할 계획이었지만 한 발 물러섰다. 현대해상은 다음 달 1일부터 실손보험 만기가 돌아오는 고객들에게 갱신 시 나이에 따른 연령 증가분만 반영한 예정 보험료를 안내할 계획이다. 보험료 인상 요인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손해율 증가분은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사실상 보험료를 동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보험료는 이후 위험률 확정에 따라 일부 변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보험료가 올라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연령 증가분은 고객 간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반영해야 하는 부분”이라며 “보험료 조정이 끝나 추가로 달라지는 내용은 다시 고객에게 안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감독당국에서 보험료를 올리려면 각오를 하고 올리라는 상황인데 어느 보험사가 보험료를 올릴 수 있겠느냐”며 “특히 대형 보험사들은 절대 총대를 메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의 보험료 동결 주문 이후 보험사들은 건전성 악화 등을 우려하며 금감원 항의 방문을 검토하는 등 강력히 반발했었다. 한 보험사는 질의 형식으로 이익을 어느 정도 내도록 보험료를 올리면 되느냐고 금감원에 묻기도 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보험료 인상요인을 일부만 반영해 조금만 올렸다고 하는 것보다 아예 안 올리는 게 보험사 이미지에도 좋지 않겠느냐”며 보험료 인상에 강한 거부반응을 보였다.
이처럼 금감원의 보험료 동결 의지가 확고한 만큼 보험사들은 서로 눈치를 보며 당국 방침을 따라가는 분위기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