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보안 비상] 스마트폰 왜 위험한가… 악성코드로 도청·위치파악 ‘식은죽 먹기’

입력 2013-03-13 03:04

2010년 4월 정부과천청사에서는 최경환 당시 지식경제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스마트폰 도청 시연회가 열렸다. 보안당국에서 나온 전문가는 최 전 장관에게 스마트폰 한 대를 건넨 뒤 전송된 이메일을 열람하게 했다. 이후 최 전 장관이 전화통화를 하자 그의 육성이 전문가의 노트북을 통해 그대로 흘러나와 참석자들을 경악케 했다. 이메일에는 도청 프로그램 설치를 명령하는 악성코드가 숨어 있었던 것이다.

스마트폰이 해킹된 사용자는 완벽한 사찰 대상이라고 보안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러한 해킹은 인터넷이 접속되는 컴퓨터로도 가능하지만 스마트폰이 훨씬 위험하다. 보통 24시간 켜두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에는 카메라와 GPS(위치정보시스템), 녹음 기능이 탑재돼 있다. 해킹된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훔쳐보면서 누구를 만나는지, 어떤 곳에 있는지를 훤하게 알 수 있다. 최 전 장관의 사례처럼 통화 내용을 엿듣거나 녹음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해킹의 경우 피해당사자는 물론 이동통신사도 파악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한다.

더욱이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문서관리, 결재 등을 하고, 카카오톡 메신저로 사적인 대화를 나누거나 금융업무를 보는 이들이 많다. 개인과 소속된 기관의 방대한 정보가 스마트폰에 담겨 있다는 얘기다. 특히 청와대 등 보안이 생명인 곳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에 철저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유성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