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무원 재취업 '삼성전자' 최다
입력 2013-03-12 00:19
최근 박근혜 정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전관예우 문제가 논란이 된 가운데 지난 7년간 재산등록을 해야 하는 공무원이 퇴직 후 가장 많이 진출한 업체는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재산공개 의무 공무원은 4급 이상 고위 공무원 또는 경찰·소방·국세·관세·감사원 등 특정 분야 7급 이상 공무원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박덕흠 의원이 11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2007∼2013년 퇴직 공직자 재취업 현황’에 따르면 삼성전자 입사 공무원은 19명이었다. 이들의 출신 기관은 청와대 1명, 검찰청 2명, 국가정보원 1명, 경찰청 6명, 국방부 3명, 조달청 1명 등 소위 권력기관 출신이 주를 이뤘다.
삼성전자 다음으로 현대해상에 16명, KT와 한국항공우주산업에 각각 13명, 방위산업체인 LIG넥스원과 삼성탈레스 그리고 대림산업에 각각 12명이 입사했다. 자동차보험 업체인 현대해상은 16명 중 경찰 출신이 15명이었다. KT도 청와대 3명, 검찰청 2명, 국정원 1명, 공정거래위 1명, 문화체육관광부 1명, 지식경제부 1명 등 힘센 기관 출신이 많았다.
퇴직한 지 얼마 안 돼 민간기업으로 옮기는 사례도 많았다. 박 의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재산등록 의무 공직자 1044명이 퇴직 후 2년 이내에 민간업체에 취직했다. 국방부가 227명이고 경찰청 150명, 금융감독원 74명, 국세청 70명, 검찰청 67명, 청와대 57명 순이었다. 박 의원은 “공직윤리법상 공직자는 퇴직 후 2년간 자신이 속했던 부처 관련 기업에 취업할 수 없다”며 “정부가 전관예우 여부를 철저히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손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