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의 한반도] 북·중 접경지 교역 이상기류… 2013년 30% 격감

입력 2013-03-11 19:09

올 들어 북한과 중국 사이 국경지역 교역량이 크게 감소하는 등 이상 기류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대북 소식통은 11일 “지난 1∼2월 사이 접경지역인 단둥에서 북한과 중국 사이에 오간 화물 유통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3∼4월 양국 간 교역량을 보면 일정한 추세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농사철이 시작되는 3월에는 중국으로부터 비닐막을, 4월에는 비료를 각각 집중적으로 수입하기 때문에 이 시기를 지나면 양국 간 교역량 변화 상황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게 된다. 북·중 교역량은 1∼2월의 경우 계절적으로 가장 적은 시기다.

이 소식통은 이에 대해 “북·중 교역량 감소가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따른 것인지 현재로서는 분명치 않지만 민감한 시기에 양국 간 교역량이 감소했다는 것은 주목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더욱이 중국 측 외교 실무진은 최근 북한 측 관계자들은 만날 때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격앙된 분위기에서 만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양국 관계가 상당히 냉각된 상황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내 강경파로 알려진 인줘(尹卓) 해군 소장이 최근 광저우(廣州)시 최대 일간지 양성만보와의 인터뷰에서 “북·중 관계는 한·미·일 관계와 다르다”면서 “중국은 북한과 군사동맹 관계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중국해군정보화전문가위원회 주임으로 양회에 참석 중인 그가 북한과의 전통적 혈맹관계를 희석시키려는 입장을 보인 것은 중국의 북한에 대한 자동 군사개입 조항 폐기를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주목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0일 북·중 관계에 대해 “중국이 당장 대북 정책을 전면 수정할 것 같지는 않지만 일방적으로 두둔하던 기존 태도에서는 벗어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FT는 안정 유지에 최대 목표를 둔 중국의 외교정책이 북한에 관한 한 실패해가는 것처럼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외교부 화춘잉(華春瑩) 대변인은 11일 정전협정 백지화를 주장하고 남한과 미국을 겨냥한 위협 수위를 높여가는 북한에 대해 거듭 자제를 촉구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