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자-권기석] ‘공시 인용’ 언론 탓하는 교육청

입력 2013-03-10 19:08

국민일보의 ‘유치원비 대폭 인상’ 기사가 게재된 지난 8일 오전 취재팀에 전화가 걸려왔다. 그는 다짜고짜 “국공립 유치원비 인상 기사가 잘못됐다”고 했다. 전화를 한 사람은 다름 아닌 서울시교육청의 담당 장학관이었다.

그는 “정리가 제대로 안 된 자료를 쓰면 어떻게 하느냐. 유치원에 전화해서 확인을 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취재팀이 인용한 건 교육과학기술부의 공시 시스템인 ‘유치원 알리미’다. 지난해 9월 문을 연 이 사이트는 말 그대로 공시 사이트다. 누구나 특정 유치원의 원비와 교육과정, 교사, 급식에 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아이를 맡긴 부모 입장에서는 유치원에 직접 물어보기 어려운 사항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유치원 알리미는 그래서 아이의 유치원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따라서 이곳에 잘못된 정보가 게재되는 건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다. 학부모는 이곳 정보를 진실로 믿고 아이를 유치원에 보내기 때문이다. 정보가 잘못됐다면 서울시교육청에도 책임이 있다. 유치원 알리미 정보는 각 유치원이 먼저 직접 입력하고 각 교육지원청과 시·도교육청이 점검한다.

정보 오류에 대한 책임이 있는 시교육청의 장학관이 취재팀에 ‘유치원에 왜 확인을 하지 않았느냐’고 항의하는 것은 서울시의 모든 부모들에게 “유치원에 직접 전화해서 공시 자료의 사실여부를 확인하라”고 요구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같은 날 서울 강남구 묘동유치원 관계자가 취재팀에 전화를 해왔다. 유치원비가 가장 많이 오른 곳으로 지적된 곳이다. 유치원 관계자는 “방과후과정비를 실수로 교육과정교육비에 넣어 일반 원비가 많이 오른 것처럼 보였다”며 “빠른 시일 내 실수를 바로잡겠다”고 해명했다.

국민일보 보도는 정부의 보육료 지원 확대를 틈탄 사립유치원들의 과도한 원비 인상을 지적했다. 정보 공시가 얼마나 무거운 의미를 갖는 일인지도 보도를 통해 깨닫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정책기획부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