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대 퇴출 미스터리] 서남대 의대 폐쇄땐 유치전 벌이는 인근대학 수혜
입력 2013-03-10 19:08 수정 2013-03-11 00:01
서남대 감사는 의대 유치전을 벌이는 대학과 부실 의대를 정비하려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에 가능했다. 의대 정원이 지역별로 할당되기 때문에 특정 의대가 퇴출되면 의대 신증설을 추진하는 인근 대학이 반사이익을 보기 때문이다.
목포대가 서남대 감사의 배경 중 하나로 떠오르는 것은 이 같은 의대 정원 배정 구도 탓이다. 서남대는 의대 캠퍼스가 전북 남원에 있고, 부속병원은 광주에 있다. 만일 서남대 의대가 퇴출된다면 서남대 인근 지역에서 의대 신설을 추진하는 대학들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서남대 의대가 폐지되거나 정원이 줄어든다고 해서 목포대가 의대를 유치한다는 보장은 없다. 의대 신설을 추진하는 대학은 목포대뿐 아니라 순천대와 군산대 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가에서 목포대를 서남대 감사의 수혜자로 지목하는 것은 이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박지원 민주통합당 전 원내대표의 무게감 탓이다.
그러나 박 전 대표는 교과부의 서남대 감사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시선에 펄쩍 뛴다. 박 전 대표는 “목포대의 의대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목포대 총장이 이주호 교과부 장관을 만난 자리에 함께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서남대 감사와 연결지어 해석하는 것은 부당하며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1000억원대 비자금 조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이홍하 서남대 이사장 측에서 자신을 끌어들인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조차 갖고 있는 듯했다.
박 전 대표가 이 장관에게 직접 서남대 감사를 주문했을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교과부도 공식적으로는 서남대 감사가 목포대 의대와 아무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다.
사실 서남대 의대 부실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었다. 교과부도 오래전부터 서남대 의대 부실 문제를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에서는 수년간 서남대 의대생들이 실습조차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마침 서남대 의대의 오랜 부실과 비리가 수면으로 드러난 상황이었다. 검찰 수사로 이홍하씨의 1000억원대 교비 횡령 혐의가 드러났으며 의대 실습을 날림으로 하면서 수련병원이 취소되기에 이르렀다. ‘사학비리의 대명사’ 이씨가 문어발식 대학 확장을 해나가는 동안 주무부처인 교과부가 팔짱만 끼고 있었다는 비판이 제기될 판이었다.
하지만 정권 말기에 부실 의대 중 서남대에 대해서만 감사의 칼을 뽑아든 이유는 석연치 않다. 서남대 말고도 관동대 등도 부실 의대라는 평가를 받고 있었지만 교과부는 서남대에 대해서만 강도 높은 감사를 벌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졸업생 134명의 학위와 재학생 148명의 학점을 취소하라는 유례없는 처분을 내렸다. 설립자의 횡령액 320억원도 환수하라고 요구했다. 서남대는 물론이고 의사협회도 성명을 내고 교과부의 강도 높은 조치에 반발했다. 그러나 교과부는 요지부동이다. 시정요구 조치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서남대 의대 폐쇄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서남대 의대가 폐쇄될 경우 정원 49명은 자연스레 인근 대학에서 흡수될 가능성이 높다. 서남대가 소속된 전북지역 의대 정원은 235명이다. 전북대 110명, 서남대 49명, 원광대 76명이다. 목포대가 위치한 전남지역 의대 정원은 250명이다. 전남대와 조선대가 각각 125명이다. 교과부는 서남대 의대 폐쇄를 전제로 지역별 의대 정원을 재배정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목포대로서는 의대 유치의 가능성이 한층 커진 것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