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安 컴백에 불안감 역력… “환골탈태 못하면 서서히 죽거나 빨리 죽거나 죽는건 마찬가지”
입력 2013-03-10 18:38
민주통합당은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의 귀국을 하루 앞둔 10일 당 개혁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정부조직법 협상 표류로 야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비등한 상황이어서 힘이 빠지는 모양새다. 되레 안 전 교수 ‘복귀’로 인한 불안감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민병두 당 전략홍보본부장은 국회에서 ‘좋은 정당 만들기’ 기자간담회를 열고 스마트 정당, 풀뿌리 정당, 협치(協治) 정당 등 3대 개혁 방안을 발표했다.
스마트 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 국회의원, 광역·기초단체장, 지역위원장, 당원 등 민주당 활동가들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및 페이스북 연결망을 구축해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스마트폰 당원제’를 도입해 전당원투표제를 상시화하기로 했다. 풀뿌리 정당을 위해선 올 상반기 중 전국 기초단체장 및 전국 의회 의장단을 선출해 당 지방자치위원회를 출범키로 했다. 여기에서 차세대 리더 및 지방자치 이슈를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주도했던 ‘민주당 지도자회의(Democratic Leadership Council)’를 벤치마킹했다. 이밖에 다양한 정치세력이 한자리에 모여 1주일간 토론하는 스웨덴의 ‘알메달렌 정치 박람회’ 모델을 응용, 매년 1회씩 ‘정치 엑스포’를 개최해 협치 정당으로 발돋움한다는 방안도 내놨다. 민주당은 이 같은 개혁 방안을 내달 시범 도입한 뒤 5·4 전당대회 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겉으로 내세운 개혁 방안은 번듯해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대(對) 청와대, 새누리당 관계에선 정부조직법 협상의 난맥상을 노출했고 안 전 교수와의 정치개혁 싸움도 우위를 점하기 어려워 보인다. 당장 4·24 재·보궐선거에서 안 전 교수에게 새 정치 이슈를 내줄 판이다.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이용섭 의원은 “안 전 교수의 서울 노원병 출마와 관련, 야권연대에 연연하면 민주당의 미래는 없다”며 “제1야당으로서 국회의원 후보를 내고, 창당 수준의 강도 높은 혁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현직 의원들의 성명도 잇따르고 있다. 3선의 전병헌 의원은 “요즘 민주당은 백척 장대 위에 서 있는 느낌”이라며 “안 전 교수의 출마를 시비걸기 전에 민주당이 먼저 변화하는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천정배 전 의원은 “작년 대선 당시 당의 전략 부재로 국민의 신뢰를 읽었다”며 “뚜렷한 국가 비전과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민생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 초선 의원은 “계파를 초월해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서서히 죽거나 (안 전 교수 복귀로) 빨리 죽거나 죽는 건 매한가지”라고 꼬집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