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전쟁위협에도 꿋꿋한 금융시장 왜?… “학습효과·경제 기초 튼튼”
입력 2013-03-10 18:37
북한이 전쟁 불사를 외치고 있지만 한국 금융시장과 경제 당국의 반응은 의연하다. 과거 북한의 위협이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경험이 시장 참여자에게 각인된 데다 금융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 전반의 기초체력이 좋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10일 금융감독원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추가제재 결의와 관련해 비상금융대책반을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수현 수석부원장이 총괄반장, 조영제 기획·총괄담당 부원장보가 실무반장을 맡아 비상대기조가 북핵 동향과 시장 상황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뉴욕·런던·도쿄·베이징에 있는 국외사무소 직원과 워싱턴·프랑크푸르트·홍콩·하노이에 있는 국외 주재원도 실시간으로 현지 상황을 보고한다. 금감원은 권혁세 원장을 비롯해 모든 임원이 주말에 출근해 수시로 회의를 열며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는 앞서 9일 기획재정부 주재로 열린 시장점검회의 결과에 따른 것이다. 회의에선 당장 금융 시장에 별다른 동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앞으로 있을 위험요인에 대비해 모니터링과 대비태세를 갖춰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 UN 안보리 대북제재와 북한의 반발에 따른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 북한 관련 사건 발생 시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은 일시적이거나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달 12일 3차 핵실험 다음 날 주가는 오히려 크게 상승했고 지난해 12월 장거리 미사일 발사 당일에도 주가가 상승하는 등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에선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며 안보불감증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북한의 도발이 실행으로 옮겨지거나 위기가 확산된다면 경제 전반에 심각한 타격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금융외환시장을 예의주시하고 필요시 제때에 대응할 것”이라며 “외국인투자자와 외신, 신용평가사 등에 정확한 사실을 알리고 미국과 중국 등 주변 국가와 긴밀한 협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금융 당국은 북한이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 관계기관 합동으로 상황별 조치 계획을 운영하고 신속히 시장을 안정시킨다는 비상 계획을 마련해 놓은 상태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