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이후] 김병관 “전면전 등 모든 상황 대비… 北 도발 철저 응징”
입력 2013-03-08 18:42 수정 2013-03-09 10:10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8일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북한이 미사일도 쏘고 핵실험도 하는 등 (전쟁) 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면서 “전면전을 포함한 모든 상황에 대비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북한이 전면전 도발을 감행할 경우 북한 정권교체나 정권붕괴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북한이 수도권에 장사정포를 쏘면 북한 최고 지도부를 겨냥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단호하게 답했다.
2015년으로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이 재고될 수도 있음도 시사했다. 김 후보자는 “전작권 이양을 할 만한지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의 방침은 계획대로 전작권을 이양하는 것이나 북한의 위협이 계속되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김 후보자는 민관이 포함된 ‘전시작전통제권추진검증단’을 설치하겠다는 의사도 밝혔다.
청와대와 정부도 긴박하게 움직였다. 박근혜 대통령은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육·해·공군 장교 합동 임관식에 참석한 뒤 헬기로 청와대에 도착, 국가안보실 산하 위기관리상황실(지하벙커)로 직행했다. 비상시 대통령이 군 통수권을 행사하는 이 곳에서 박 대통령은 “북한이 지금 말할 수 없는 위협을 가하고 있다. 북한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연평도 주민에 대한 대비도 잘 갖춰 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의 지하벙커 방문은 헬기 안에서 직접 지시해 결정됐다.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등이 참석해 사실상 새 정부 첫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열린 셈이다. 앞서 박 대통령이 장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것은 1979년 퍼스트레이디(영부인) 대행으로 임관식에 참석한 지 34년 만이다.
주 수석은 오전 긴급 외교안보정책점검회의를 주재했고, 통일부는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북한의 잇따른 긴장 고조 행위에 유감을 표명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보복 응징 규모에는 제한이 없다”고 강한 대응 의지를 밝혔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국회에서 긴급 당정회의를 가졌다.
북한의 위협이 고조됨에 따라 제임스 서먼 한미연합사령관과 정승조 합참의장은 오후 군 대비태세 보완점을 논의했다. 군은 특히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4군단 소속 포병부대를 방문한 점에 주목하고 백령도 연평도 등 서북도서와 서해 북방한계선(NLL)에 대한 대비태세를 강화했다.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한 서북도서사령부는 적 해안포 발사 감시용 신형 대포병레이더(ARTHUR)와 음향표적탐지장비(HALO)를 확대 가동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