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협 수위 높이는 北] 전면전 준비명령…자고나면 협박수위 높이는 김정은
입력 2013-03-08 18:03 수정 2013-03-08 22:34
北, 불가침 합의 파기·직통전화 단절
朴 대통령 “北 핵무기만 집중하면 자멸”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결의에 반발해 남북 불가침 합의 전면 폐기를 선언하면서 한반도 정세가 일촉즉발의 긴장상태로 치닫고 있다. 북한의 이런 강경 움직임은 1993년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에 따른 1차 북핵 위기 이후 최고 수위라는 지적이다.
‘핵 선제 타격권 행사’와 ‘제2의 조선전쟁’을 거론했던 북한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서해북방한계선(NLL) 인근 최전선까지 시찰하며 전군에 ‘전면전 준비’를 명령했다. 이에 박근혜 대통령은 8일 취임 후 처음으로 청와대 국가안보실 산하 위기관리상황실(지하벙커)을 찾아 “북한의 어떤 도발도 즉각 무력화할 수 있는 안보태세를 갖추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기에만 집중한다면 결국 자멸하게 될 것”이라고 강력한 경고 메시지도 던졌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 제1위원장이 서남전선의 ‘장재도 방어대’와 ‘무도 영웅방어대’를 7일 새벽 시찰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그는 “육·해·항공 및 반항공군, 전략로케트군 장병들이 우리 식의 전면전을 개시할 만단의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성명을 통해 키 리졸브와 독수리연습 등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침략행위로 규정하고 남북 불가침 합의 전면 폐기와 남북직통전화 등 판문점 연락통로 단절을 선언했다.
북한이 전면전을 거론하며 위협 강도를 높이자 박 대통령은 청와대 지하벙커에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로부터 북한군 동향과 우리 군 대비태세를 보고받으며 “지금 북한이 말할 수 없는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안보태세에 한 치의 허점도 있어선 안 된다. 어떠한 북한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국민들이 안보태세에 빈틈이 없다는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라”고 말했다. 앞서 충남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열린 제3회 육·해·공군 장교 합동 임관식 축사에서는 “국가가 아무리 강한 무기가 있어도 그것만으로 나라를 지킬 수 없다”며 “국민은 굶주리는데 핵무기와 군사력에만 집중한다면 그 어떤 나라도 자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핵무기로 공격한다면 김정은 정권은 지구상에서 소멸될 것”이라며 “다시 도발할 경우 강하고 단호하게 응징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통일부는 “남북간 합의를 준수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북한 당국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둔다”고 밝혔다. 앞서 청와대는 오전 긴급 외교안보정책점검회의를 개최해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한 안보대비 태세를 점검했다.
이처럼 남북이 서로 강경 대응 입장을 밝힘에 따라 한반도를 둘러싼 전쟁 위기론은 한층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미 양국이 11~21일 실시하는 2013 키 리졸브 연습 기간에 북한이 군사적 도발을 감행할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수 있다. 한미연합사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간 예행연습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신창호 이성규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