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조직 개편 매듭짓고 민생·北核에 나서라
입력 2013-03-08 17:59 수정 2013-03-08 22:36
3월 임시국회 회기가 8일 시작됐지만 정부조직 개편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의 지루한 대치가 계속되고 있다. 이대로라면 주말을 넘겨 새 주가 시작되더라도 합의가 어려워 보인다. 이런 가운데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자신의 진퇴를 내걸고 협상 타결을 촉구해 눈길을 모았다. 문 위원장은 “만약 이 일을 못 해낸다면 명색이 정치한다는 주제에 무슨 낯으로 국민을 대하겠느냐”며 “그런 경우 사태의 책임을 지고 거취에 대한 중대 결심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을 여권을 압박하기 위한 벼랑 끝 전술이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당뿐 아니라 민주당 원내사령탑이 최근 협상 타결의 조건으로 제시했던 MBC 사장 퇴진 등 3대 선결요건에 대해 “여우와 두루미 식으로 상대가 받을 수 없는 안을 그만 내달라”고 비판한 것은 이례적이다. 자중지란을 각오하고 자당의 협상 전략을 질타한 데서 이번 사안을 속히 마무리해야 한다는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여야 협상팀은 불퇴전의 결기가 아니라 협상이 실패하면 인책사퇴하겠다는 각오로 협상에 임해야 한다. 여권은 방송통신 기능이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될 경우 방송의 공정성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는 야당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속히 내놓아야 한다. 야당은 정보통신기술 산업을 국가 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기조를 존중해 100% 만족할 수 없는 안이라도 이쯤에서 정부조직 개편안 논란을 매듭짓고 민생과 북핵 문제 등 보다 큰 국정현안으로 논의의 물꼬를 틀어야 한다. 협상을 후퇴시키는 말 뒤집기나 상호비방은 자제해야 한다.
그제 열린 제45회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밝은 얼굴로 악수를 나누는 모습은 인상적이었다. 새 정부 출범에 즈음해 정쟁만 거듭하던 여야 정치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국가와 민족을 위해 기도하고 통합의 정신을 묵상한 것은 흐뭇한 광경이었다. 이제는 국민들이 환하게 웃어야 할 때다. 정치권이 작은 이해관계나 원칙, 자존심을 내려놓고 국민의 공복이라는 본연의 모습으로 되돌아오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