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처신 어떻게 했기에”… 인선 잡음에 측근들 질책
입력 2013-03-07 19:22 수정 2013-03-08 00:10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인선을 둘러싼 잡음을 두고 측근들에게 “도대체 처신을 어떻게들 하고 다니기에 안 좋은 소문이 나느냐”며 질책한 것으로 7일 전해졌다. 그러면서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각별히 조심하라”는 취지로 당부했다고 한다.
최근 청와대 인선 과정에서는 끊임없이 ‘파워 게임’설이 흘러나왔다. 박 대통령의 측근들이 서로 자기 사람을 들이기 위해 권력다툼을 벌이고 있다는 식이다. 정부조직법 개정 지연으로 국정공백 사태가 발생했고, 북한의 군사적 위협까지 커져 가뜩이나 고민 많은 박 대통령이다. 청와대 내부에서조차 좋지 않은 소문이 돌자 강력히 제동을 걸며 ‘집안 단속’에 나선 것이다.
청와대는 비서관·행정관 인선에 대해 공식 발표를 한 적이 없지만 언론에 알려진 내정자가 하루아침에 바뀌거나 내정된 인사가 출근하지 않는 등의 사례가 알려지면서 이러한 의혹이 증폭됐다. 그러나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내정이라는 게 가변성을 전제로 하는 것 아니냐. 인선안이 확정되면 바로 발표하겠다”며 “언론에서 자꾸 혼선이라고 표현하는데 그런 것은 아니다”고 일축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인사에 외부 입김이 작용할 가능성은 제로”라고 입을 모은다. 박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알려진 청와대 인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허태열 비서실장 중심으로 인사팀이 인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정도만 안다”며 “저 같은 사람은 그 과정을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인선을 관리하고 있다는 오해를 받은 다른 측근도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저는 청와대에 들어온 뒤 짐 풀고 업무 보느라 바쁘다. 인사위 비서관에 내정됐다는 김동극이란 분의 얼굴도 모른다”고 했다.
하지만 청와대가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열흘이 지나도록 인사 절차에 시간을 끌어 혼선을 자초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국회에서 처리돼야 하는 정부조직법과 다르게 청와대 인선은 대통령이 전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당분간 수석비서관 회의를 중심으로 국정을 챙기기로 한 청와대는 인사 작업에도 막바지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신동철 여의도연구소 부소장을 정무수석실 국민소통비서관에, 장옥주 전 한국노인인력개발원장을 고용복지수석실 보건복지비서관에 추가로 내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은 비서관 인선은 여성가족부 공무원이 내정됐다가 철회된 것으로 알려진 여성가족비서관과 내정자가 출근을 거부하고 있는 홍보기획비서관 두 자리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