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영업정지 막판까지 과도한 보조금 ‘네탓 공방’
입력 2013-03-06 22:24
지난해 과도한 보조금 경쟁으로 순차적으로 영업정지를 받아온 이동통신사들이 최근 과도한 보조금 지급으로 시장이 혼탁해지고 있는 것에 대해 서로를 비난하며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먼저 발끈한 곳은 KT다. KT는 영업정지 13일째인 6일 오후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긴급 브리핑을 개최했다. KT는 자체 조사 결과 자사 영업정지 기간인 지난달 말부터 갤럭시S3, 옵티머스G, 베가R3 등 인기 스마트폰에 대한 경쟁사의 보조금 지급이 단말기 출고가에 육박한 80만∼100만원까지 상승했다고 주장했다. 최근엔 갤럭시S3가 13만원대의 초저가로 판매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KT 세일즈기획단장 이현석 상무는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의 영업정지 기간 중 하루평균 번호이동 건수는 각각 2만6000건, 2만5000여건에 불과했지만 KT의 영업정지가 시작된 이후 그 건수가 3만∼4만여건으로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새 정부 출범 전인 2월 말부터 엄청난 시장과열이 촉발돼 최근 무선통신 시장은 규제가 통하지 않는 공황상태”라며 “방송통신위원회가 시장혼란을 주도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를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KT의 공세에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도 곧바로 반격에 나섰다.
LG유플러스는 “자사의 경쟁력 부족을 간과한 채 경쟁사가 과다한 보조금을 지급한 것으로 매도하는 KT의 언론플레이에 실망감을 느낀다”며 “가입자 이탈이 급속히 늘어난 이유에 대해 자사의 문제점을 제대로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우리 영업정지 기간에 KT를 포함한 경쟁사들도 방통위의 경고를 무시하고 100만원 이상 리베이트를 지급하는 등 과열상태를 이어갔다”며 “시장과열의 한 축이던 KT가 시장과열을 지적하는 행태는 타사 영업정지 기간에 확보한 시장 점유율을 지키려는 목적으로밖에 이해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홍해인 기자 hi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