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 보고서 “서울 전세가율 2∼4년새 최대 77%까지 오를 수도”

입력 2013-03-06 19:53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최대 77%까지 오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주택산업연구원은 6일 ‘전월세시장의 전망과 리스크’ 보고서에서 국민은행의 과거(1990∼2001년)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변동 현황을 바탕으로 추정한 결과 서울의 전세가격이 향후 2∼4년간 집값의 65∼77%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서울 구별 전세가율은 서초구가 49.58%로 가장 낮고 도봉구가 62%로 가장 높다.

전세가격 상승세로 인해 임차인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주택담보대출 가구는 약 330만 가구에 이른다. 이 가운데 전세 임대는 약 54만 가구, 보증금을 포함한 담보가치인정비율(LTV)이 70%를 초과하는 가구는 약 19만 가구로 추정된다. 이 주택을 후순위로 빌렸을 경우 임차인은 집이 경매에 넘어갈 경우 보증금의 20% 정도를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으로 전국 263개 시·군·구 가운데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포항 북구로 77.07%에 달했다. 뒤이어 부산 북구(75.24%), 대구 달서구(75.23%), 울산 동구(74.95%), 대구 광산구(74.42%), 광주 서구(73.04%), 광주 동구(72.72%), 부산 서구(72.63%) 순이었다.

주로 지방 광역시가 전세가율이 높았다. 투기적 수요가 적어 매매가격이 높게 형성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교통, 편의시설, 학교 등 주변 인프라 시설이 잘 갖춰진 지역의 전세가율이 높은 편이었다. 반면 전국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낮은 곳은 서울 용산구로 37.69%에 그쳤다. 그 다음으로 경북 영주시(39.15%), 충남 홍성군(40.48%), 전북 김제시(42.16%), 경기 여주군(42.99%), 충남 예산군(44.02%) 순으로 이어졌다.

용산구는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인 곳으로 국제업무지구 조성, 용산기지 이전 등의 미래 개발가치에 대한 투자수요가 많다. 이 때문에 매매가격이 높아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