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수신업체 또다시 기승

입력 2013-03-06 19:35

터무니없는 수익률을 내걸고 돈을 끌어모은 뒤 잠적하는 유사수신업체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유사수신업체는 대부분 서울 강남과 2호선 지하철역 주변에 밀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수신이란 인허가나 등록·신고 없이 투자금을 모으는 불법 행위를 말한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3년 동안 유사수신업체 228곳을 적발했다고 6일 밝혔다. 적발 건수는 2010년 115곳에서 2011년 48곳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65곳으로 다시 늘었다.

이들은 경찰의 단속을 피하기 위해 상호나 사무실을 수시로 바꾸고 짧은 기간 자금을 모아 사라지는 ‘떴다방’ 식 위장영업을 한다. 자금을 모으는 동안 투자금의 일부를 마치 수익금인 것처럼 돌려줘 안심시키는 수법도 자주 쓰인다.

지난해 적발된 유사수신업체 중 서울에 사무실을 둔 업체는 48곳이었다. 이 중 27곳이 강남에 몰렸다. 봉천·서울대입구·낙성대·강남·역삼·선릉 등 지하철 2호선 역 주변에도 많았다. 금감원 서민금융지원국 김병기 팀장은 “접근성이 좋고 유동인구가 많기 때문에 2호선 지하철역 주변에 사무실이 밀집하는 것”이라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유사수신업체는 비상장주식 매매나 FX마진(외환선물거래의 일종)을 내세운 금융업이 가장 많다. 발광다이오드(LED) 등 첨단산업과 가격 급등을 노린 생활필수품 투자도 있다.

금감원은 분기마다 유사수신업체 우수제보자를 뽑아 건당 30만∼100만원의 포상금을 주고 있다. 상담·제보는 금감원 홈페이지(www.fss.or.kr)나 전화(1332)로 하면 된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