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결정국 장기화] “원칙 없는 타협 안한다”… 靑·새누리, 野제안 거절

입력 2013-03-06 18:33 수정 2013-03-07 00:06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6일 민주통합당이 정부조직법 원안 처리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세 가지 요구사항을 모두 거절했다. 국정운영의 정상화를 위해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가 시급하지만 야당과 원칙 없는 타협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민주당이 (정부조직법 협상을) 방송사 사장 인사와 연계 짓고 있다”면서 “그거야말로 정부조직법을 정치적 이슈로 다루고 있다는 증거”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미래창조과학부와 전혀 상관없는 별개 문제를 연계하는 정치 상황을 안타까워했다”며 최순홍 미래전략수석의 불편한 심기도 함께 전했다.

새누리당 이철우 원내대변인도 “박기춘 민주당 원내대표가 제안한 세 가지 수정안은 협상 초기부터 민주당이 얘기해 왔던 것으로 새로운 것이 아니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 대변인은 “정부 개편안과 아무런 관련 없는 사항을 들고 나와 정부 출범을 빌미로 당리당략적인 목적을 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기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여야 (수석부대표) 회동 직전에 박 원내대표가 끼어들어 고춧가루를 뿌렸다”면서 예정돼 있던 회동을 취소했다. 박 원내대표가 오전과 오후 수정안을 거듭 제안하며 협상 재개 조건처럼 강조한 것에 불쾌감을 드러낸 것이다. 이에 따라 8일 예정된 임시국회 개회 이후에도 정부조직법 처리는 난항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여야 접촉이 여의치 않을 것으로 본다”며 “당분간 냉각기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 비주류는 지도부의 정치력 부재를 질타하며 적극적인 협상을 촉구했다. 정몽준 의원은 인사청문회를 위해 국회에 나온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향해 “당 정책위의장 겸 대통령직인수위 부위원장으로서 사실상 새 정부 출범 작업을 총괄했는데 현 사태에 대해 책임을 느끼지 않느냐”며 “지도부가 총사퇴한다는 각오로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오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 글을 통해 “참으로 답답하다. 힘 있는 자가 양보하면 포용과 아량이 되지만 약한 자가 양보하면 굴종이 된다”면서 “파트너에게 굴종을 강요하는 것은 정치가 아니다”고 말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야당을 압박한 데 대한 비판으로 해석된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