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협으로 맞서는 北] 靑, 북 국지도발 염두 NSC 차원 대응책 마련
입력 2013-03-06 18:21 수정 2013-03-06 22:18
청와대는 한반도에 긴장감이 고조되는 상황과 관련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해당하는 협의체를 가동하고 대응책 마련에 들어갔다. 북한의 국지도발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군은 전군(全軍) 경계근무태세를 한 단계 높이고 대북 감시 및 정보수집 활동을 대폭 강화했다. 북한은 최근 동·서해에서 잠수함 기동훈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靑 예의주시하며 대비책 강구=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최근 안보상황에 대해 사실상 NSC 차원에서 긴밀히 협의 중”이라며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와 주철기 외교안보수석을 중심으로 국방부와 연락하면서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박근혜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하지는 않고 실질적으로 NSC를 통할하는 김 내정자로부터 보고를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NSC는 안보 사안을 논의하는 헌법상 기구로 대통령이 의장을 맡도록 돼 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상당한 수준에 있는 자(김영철 정찰총국장)가 강경한 입장을 발표한 만큼 도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이 발표된 뒤 나올 북한의 태도에 예의주시하면서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태열 비서실장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주 외교안보수석은 “한 치의 공백 없이 대응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안보 컨트롤타워가 공석인 상황에 대한 우려가 거듭 제기됐다. 김 내정자는 수석비서관회의에 또 불참했다.
◇軍 대비태세 강화=군은 금강(영상)·백두(신호) 정찰기와 공중조기경보통제기(피스아이), 주한미군 고공전략정찰기 U-2 등의 하루 정찰 횟수를 늘리고 분석 요원도 대폭 보강했다.
작전사령관급 이상 부대에는 상황근무체계를 강화하고 북한군을 타격할 수 있는 각급 부대 무기체계의 대기 수준도 높였다. 군사분계선(MDL) 인근 포병부대는 K-9 자주포, 130㎜ 다연장로켓 등을 즉각 대응 사격할 수 있게 배치했다. 동·서 북방한계선(NLL) 해상에는 사거리 150㎞의 국산 대항유도탄 해성을 탑재한 유도탄고속함(400t급)과 호위함(1500t급), 한국형 구축함(3800t급) 등이 증강 배치된다. 공군도 KF-16과 F-15K 전투기 초계비행을 늘리고 공대공 미사일도 장착토록 했다. 주요 지휘관들은 1시간 안에 부대로 복귀할 수 있는 지역에 상시 대기토록 했다. 한·미는 지난 1일부터 야외기동훈련인 독수리(FE)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北 훈련 착수=북한의 잠수함 훈련은 최근 기지 인근 해상에 얼음이 녹으면서 본격화된 것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진행한 동계훈련에서 북한은 122㎜ 방사포와 자주포, 해안포 등을 동원한 포사격을 예년보다 3배나 늘렸다. 한·미 연합훈련인 ‘키 리졸브’ 연습이 시작되는 다음주쯤 육·해·공군이 동원되는 대규모 국가급 훈련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 원산 인근에서 육·해·공군 대규모 화력 훈련을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