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법 지연에 청주국제공항 활주로 확장 발목

입력 2013-03-04 21:50

충북도가 추진하는 청주국제공항 활주로 연장 사업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조사 중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타당성 조사결과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4일 도에 따르면 KDI는 지난해 8월 조사 결과를 내 놓을 계획이었으나 연구기간을 연장해 달라는 도의 요구를 받아 들여 최종 발표를 12월로 늦췄다가 다시 지난 2월로 연기했다. 하지만 KDI가 발표를 아무런 설명 없이 또 미뤘다. 예비타당성 조사 발표가 3번이나 연기된 것이다. 이는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한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2744m인 활주로를 3200m로 늘려야 대형화물기(B747-400F) 이착륙과 국제선 확충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현재의 활주로는 대형 항공기의 이착륙이 불가능해 미주(美洲)와 유럽 등 장거리 취항이 어렵다.

현재로선 만족할 만한 타당성 조사 결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 지배적이다. B/C(비용대비 편익률)가 적어도 0.8 이상은 돼야 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데 KDI가 0.47로 계산하고 있다.

도는 활주로 연장사업에 차질이 우려되자 지난 2월 19일 국토부에 보낸 공문을 통해 “사전 타당성 조사 시점 후에 경제자유구역지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건설 등 항공화물 수요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건이 달라졌다”며 “화물수요를 시장조사 방식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앞서 도와 청주시, 청원군은 지난해 11월 8일 청주공항 활주로 연장사업에 필요한 용지 매입비 110억원을 지방비로 분담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했었다.

임택수 도 관광항공과장은 “새 정부 출범 후 정부조직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해 청주공항 활주로 연장사업에 차질이 우려된다”며 “정부조직법이 통과된 후 신임 장관에게 보고회 등을 거쳐 늦어도 이달 말에 타당성 조사 발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