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사회적 비용 5년간 1조166억원… 정책적 대안 논의 세미나 열려
입력 2013-03-04 17:18
우리나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초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골다공증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골다공증 환자 중 75.2%가 70대 이상이며, 약 93%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나 노인 여성의 유병률이 특히 높았다.
골다공증이 위험한 이유는 2차적으로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골다공증성 골절은 심한 고통은 물론이고 내과적 합병증을 유발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척추나 고관절 골절이 한번이라도 발생한 사람은 일반인보다 사망률이 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새누리당 문정림 의원과 대한정형외과학회, 대한골다공증학회, 대한골대사학회는 중증 골다공증성 골절 정책세미나를 열고 중증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논의했다.
이태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정책세미나에서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2007년부터 2011년간 약 1조166억원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이 교수는 “골절 치료 후 만성 통증 치료 등을 포함하면 사회적 비용은 더 늘어날 것”이라며 “특히 반복적인 골절치료로 의료사각지대에 놓인 노인 환자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정책을 마련해 사회적 비용을 낮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골다공증성 골절은 환자 개인의 고통뿐 아니라 사회적 부담 또한 큰 질병이지만 중증 골다공증성 골절이라는 질환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부족해 골절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에 대한 관심도 미흡하다. 반면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미국과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은 골절 예방 및 중증 골다공증 치료에 필요한 신약 등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재협 대한정형외과학회 총무이사는 “골다공증 치료는 질환 진행 단계에 따라 다르게 진행돼야 한다. 골감소증 때는 운동이나 식이요법, 비타민D 섭취를 통해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골다공증으로 진행된 환자는 골흡수억제제와 같은 약물 치료를 통해 골 손실을 막는 치료가 필요하다. 골절이 한 번 이상 발생한 중증골다공증의 환자의 경우 추가 골절을 예방하는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행 골다공증성 골절 치료는 골절 발생 전과 후가 크게 다르지 않아 골절이 중증 골다공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총무이사는 “골절 고위험 환자에 대해 골형성 촉진제 등 적극적 치료에 대한 보장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지 쿠키건강 기자 ohappy@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