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년 새학기, 학부모들에 대한 전문가 조언… “학기 초 크고 작은 충돌은 적응위한 자연스런 현상”

입력 2013-03-01 17:39


학기 초 학생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불안지수가 높아진다. 이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두려움과 변화에 대한 저항이 가져오는 당연한 현상이다.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상담코칭학과 권수영(사진) 교수는 “학부모들이 이를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학기 초 여러 가지 문제로 짜증을 내는 자녀를 보고, 자녀의 부적응 문제나 변화에 대한 동기부족이라고 판단하는 부모는 자녀의 불안을 충분히 공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학기 초 자녀의 불안을 잘 공감하는 부모가 있을 때 자녀는 스스로 새로운 변화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적응하게 된다고 조언했다. 학기 초 당면하는 변화의 문제는 학과 공부에 대한 것이기보다는 관계의 영역인 경우가 더 많다. 그래서 아무래도 학기 초 관계에 있어서 크고 작은 충돌이 생기는 것도 당연하다. 새로운 관계 형성에 대한 두려움은 짜증으로 드러나고 낯선 학우들과의 새로운 관계에서 안정감을 느끼기 전까지는 모두가 방어적이 되고 서로의 단점만이 눈에 보인다.

권 교수는 “부모들이 도와줘야 할 것은 친구를 사귀거나 새로운 담임선생님과의 관계를 맺는 일에 대한 조급함을 갖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라며 “가정에서 부모와 학기 초 새로운 변화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시간을 갖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권면했다.

특히 가정에서 친구나 선생님의 단점을 이야기하지 말고 새로운 관계에서 오는 장점을 많이 언급하면 자녀의 두려움을 줄이고 찬찬히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새로운 변화에 대해 빨리 적응하라고 종용하기보다는 새로운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도록 변화가 가져올 수 있는 이점과 유익함을 먼저 고려하도록 할 때 자녀 스스로 변화를 촉진시켜 나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최영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