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日기업 주주들의 변신] 어떻게 분석했나… 창씨개명 前 이름 바꿔 한 달 넘게 검색 추적
입력 2013-02-28 19:07
‘조선인 노무자 공탁기록’ 조선인 주주 1204명은 대부분 창씨개명으로 성이 바뀐 채 기재돼 있었다. 국민일보와 강제동원·평화위원회는 우선 이들을 창씨개명 이전의 이름으로 환원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후 공탁기록 상 주소를 기준으로 국사편찬위원회가 운영하는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과 친일진상규명위원회 최종 보고서 등에 이름을 넣고 이들과 관련된 자료를 모았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상에는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 관보, 재판기록, 심의조서 등 일본 공문서, 당시 신문기사 등이 망라돼 있다. 총독부 관보 등 당시 기록이 대부분 한자와 일본어로 기록돼 있어 분석 작업은 한 달 넘게 진행됐다. 검색 결과 중 동명이인이 있을 위험성을 감안해 검색 결과 내용이 명부상 주소와 일치하지 않으면 배제했다. 이를 바탕으로 각 개인별로 직업, 친일행적 여부, 강제동원 관련성 등을 상세히 분류했다. 이 결과 주주 1204명 중 41.2%인 496명의 일제 강점기 시절과 해방 이후 행적을 추적할 수 있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