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가격 연쇄 인상 ‘담합’ 냄새… 밀가루 장류 등 가공식품 폭·시기 대부분 비슷

입력 2013-02-28 22:04


가격 인상 행진을 이어 온 식품업체들 사이에 담합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가공식품 인상과 관련해 식품 업체들을 대상으로 강도 높은 조사에 나섰다.

정부는 28일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부처회의에서 정권교체기를 틈탄 일부 가공식품업체의 부당하거나 편법적인 가격 인상에 대해 엄정 대응할 것을 천명했다.

식품업체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과자, 음료수, 두부, 장류, 밀가루 등 가공식품 가격을 계속해서 인상했다. 정부가 담합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업체들 간 가격 인상폭과 인상 시기가 대부분 비슷하기 때문이다. 밀가루의 경우 대한제분, 동아원, CJ제일제당의 가격 인상폭이 8.6∼8.8%로 비슷하다. 장류 가격 인상률 역시 CJ제일제당 7.1%, 샘표식품 7%로 거의 같다. 가격 인상 시기가 비슷한 것도 의심을 사고 있는 부분이다.

식품업계는 담합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인상 요인은 모든 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폭으로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고 서로 경쟁관계이기 때문에 인상폭도 같은 수준으로 맞춰진다는 주장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가격 인상을 시장에 자율적으로 맡겼다면 한꺼번에 오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억눌리다보니 그간 인상 요인을 감당하기 힘들었던 업체들이 정권 말기에 줄인상을 감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담합 여부와는 별개로 식품업체들이 정권 말기에 정부의 물가관리가 소홀한 틈을 타 우후죽순식으로 가격을 인상한 데 대한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새 정부가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

공정거래위원회와 국세청 등은 가격을 밀약하거나 부당하게 인상한 업체에 엄정하게 대응하고 부당이익을 적극 환수할 방침이다. 현재 공정위는 식품업체들을 대상으로 대형마트와의 유통과정에서 불공정거래행위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선진국 수준의 2%대 물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구조개선 과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