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여론조사 대상 놓고 민주 전대 룰 전쟁 재연 조짐
입력 2013-02-27 19:10
민주통합당은 27일 중앙위원회 회의를 열어 5월 4일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50%, 권리(당비납부)당원 30%, 여론조사 20%’로 새 지도부를 뽑기로 의결했다. 하지만 여론조사 대상을 놓고 주류와 비주류 간 이견이 뚜렷해 향후 재차 ‘룰 전쟁’이 벌어질 전망이다.
지도부는 당초 국민 전체를 여론조사 대상으로 하는 ‘일반국민 여론조사’로 하려 했으나 회의에서 친노(親盧·친노무현)계를 비롯한 주류가 반발해 ‘일반국민’이라는 표현을 빼고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친노계는 여론조사에서 일반국민뿐 아니라 지난해 6월 전당대회(6만명)와 8∼9월 대선 경선(29만6000명) 때 참여한 35만6000명 정도의 국민경선 선거인단을 비중 있게 포함시키자는 입장이다. 중앙위 회의에 앞서 친노계 등 현역의원 41명은 성명을 내고 “국민참여 선거인단은 당의 외연을 확대할 소중한 자산으로, 이들의 참여를 배제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비주류는 국민경선 선거인단이 사실상 문재인 전 대선 후보를 탄생시킨 ‘모바일 투표’의 핵심 세력으로 보고 여론조사 때 이들만 특별대우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중앙위 의결을 바탕으로 차후 전당대회 준비위원회가 구체적인 여론조사 대상과 방법을 마련하면 당무위에서 이를 최종적으로 인준키로 했다. 따라서 전대 준비위가 국민경선 선거인단을 여론조사에 포함시킬지 여부에 따라 주류와 비주류가 당무위에서 재차 격돌할 조짐이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한상진 대선평가위원장이 지난 1일 당 워크숍에 이어 이날 재차 ‘친노 책임론’을 제기해 비주류에 힘을 실었다. 한 위원장은 국회에서 열린 한국선거학회 주최 토론회에 초청돼 개회사에서 친노계를 겨냥, “대선 패배 책임 세력이 공동으로 자숙하고 퇴진할 때 과거 극복의 정의가 실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이 뒤숭숭한 사이, 미국에 체류 중인 무소속 안철수 전 대선 후보가 예정대로 3월 초쯤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안 전 후보 측은 4월 재·보궐선거 때 후보를 낼 것으로 보인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