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 관계 어떻게…“朴, 당과 원활 소통” “지도부, No 할수 있나”

입력 2013-02-26 18:28

박근혜 대통령 시대의 당·청 관계는 어떻게 될까. 박 대통령이 집권 초반부터 대선 공약 이행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힌 만큼 어느 때보다 건강하고 긴밀한 당·청 관계가 필수적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박 대통령 본인이 15년 동안 야당 대표, 여당 대표를 맡아 정치를 해오면서 당·청 관계가 어땠는지 누구보다 잘 안다”며 “어느 때보다 원활하고 긴밀한 당·청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당·청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요한 결정을 할 때 당과 상의하느냐, 공감대 형성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느냐”라며 “사전 의견수렴 과정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명박 정부가 집권 초 당·청 관계에 문제가 생기면서 5년 내내 국정 운영에 애를 먹었던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한다. 2008년 이명박 전 대통령 집권 초기엔 청와대가 일방적으로 결정해 당에 통보하면 당은 반발하는 악순환이 이어지며 역대 최악의 당·청 관계라는 평가를 받았다.

박 대통령이 누구보다 이런 사정을 잘 안다는 점은 당·청 관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게다가 당과 청와대의 가교 역할을 할 허태열 비서실장과 이정현 정무수석도 최고위원 출신으로 여당의 생리와 의사결정 과정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거꾸로 “내가 다 안다”는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 대통령이 보안 제일주의의 통치 스타일을 고수하는 한, 과연 당·청간 사전 협의가 잘 되겠냐는 것이다. 설사 협의를 하더라도 친박근혜계 일색의 당 지도부가 청와대 결정에 ‘노(No)’ 하지 못 할 것이라는 회의론이 만만치 않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집권 초기 청와대에서 방향을 정해놓고 협조를 요청할 경우 이를 대놓고 반대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5년 전에는 박 대통령을 중심으로 당에 친박근혜계가 막강한 비주류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당 지도부를 견제할 당내 세력 또한 전무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지난해 12월 박 대통령이 당선된 뒤 두 달간의 행태를 보면서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박 대통령이 ‘나홀로’ 결정한 뒤 당에 통보하는 형식의 일방적 의사 결정 스타일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이날 새누리당 경제민주화실천모임에서 특강을 한 서울대 송호근 교수는 “지난 두 달 동안 정당과 청와대가 완전 분리된 상태였다”며 “이는 곤란하고, 여러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