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권 신공항 유치전 2년 만에 다시 불붙었다

입력 2013-02-25 19:09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남부권 신공항’ 유치전이 다시 불붙고 있다. 정부가 “경제성이 없다”며 사업을 백지화한 지 2년여 만에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됐다.

부산시와 김해공항 가덕이전 시민추진단, 범시민운동본부는 제18대 대통령 취임일인 25일 오전 ‘국가와 부산발전’이라는 소망을 새긴 종이비행기 2025개를 부산시청 광장에서 날리는 행사를 가졌다. 종이비행기 2025개는 가덕도 신공항 개항 목표연도 2025년을 의미한다.

영남 7개 시·도의 대통합을 의미하는 일곱 색깔의 종이비행기에는 ‘국민 대통합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취임을 축하드립니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 360만 부산시민의 염원을 종이비행기에 담아 띄웁니다’라는 문구가 새겨졌다. 시민단체 등은 아울러 성명에서 “정부가 여러 후보지를 놓고 신공항 입지 후보지를 평가하면 지역 간 유치 경쟁으로 극심한 지역갈등이 재연될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은 대선 때 부산시민들에게 공약한대로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조속히 추진해 줄 것을 간절히 건의 드린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구·경북·경남·울산지역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남부권신공항 범시도민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3일 대구상공회의소에서 토론회를 열어 신공항 입지를 기존 경남 밀양시 하남읍에서 창원시 대산면으로 넓히자는 내용을 다뤘다. 특히 대구시와 경북도는 창원뿐 아니라 경북 영천시 금호읍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창원시 대산면 이장협의회 등은 최근 ‘신공항 건설 반대’ 플래카드 30여개를 내걸고 반대운동에 돌입했다. 대산면에 신공항이 들어서면 한순간에 보금자리를 잃게 된다는 게 주민들의 입장이다.

부산의 경우 ‘가덕도 신공항’ 건설 대신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확장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대구·경북·경남·울산은 신공항 입지를 ‘경남 밀양’에서 ‘경남 창원’과 ‘경북 영천’도 가능하다는 유연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동남권신공항은 2006년 12월 노무현 대통령이 부산지역 기업인들의 건의를 받아 검토를 지시했고, 이명박 대통령이 대선후보 때 신공항 건설을 공약해 추진됐다. 하지만 유치 과열현상이 나타나자 정부는 2011년 3월 30일 “두 지역 모두 불리한 지형조건과 미흡한 경제성으로 공항입지로 적합하지 않다”며 백지화를 발표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