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vs 미래부 쟁탈전… 1조원 예산 과학기술 기초연구사업
입력 2013-02-25 18:00
올해 1조원 가까운 정부 예산이 투입되는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을 놓고 신설될 미래창조과학부와 기존 교육부 간에 물밑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 구현의 근간이 될 핵심 사업이 자칫 두 부처에 기형적으로 쪼개질 위기에 처했다.
25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과기 분야 기초연구사업은 대학교수 또는 공공·민간연구소 연구원의 창의적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 예산 993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개인(일반 연구자→중견 연구자→리더 연구자의 역량단계별 맞춤형 지원)과 집단 연구, 연구기반 구축의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당초 새 정부 공약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안에는 이 사업 전체가 미래부로 이관하는 걸로 돼 있었다.
하지만 행정안전부는 지난 22일 정부조직법에 따른 부처별 직제와 인력 개편(시행규칙에 담김)을 알리면서 현 사업 중 일반 연구자(4189억원)와 연구기반구축 사업 일부(427억원) 등 총 4687억원 사업은 교육부에 잔류한다고 통보했다. 나머지 중견·리더 연구자, 집단연구 사업 등 5247억원에 해당하는 사업만 미래부로 이관시킨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교육 쪽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행안부는 인수위의 ‘2008년 (옛)과학기술부와 (옛)교육부 통합 전으로 돌아간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교과부 내 과기부 출신 관계자는 “옛 교육부 수행 기초연구사업은 부처 통합 후 과기분야 R&D사업으로 통합 개편돼 연구 역량 단계별로 일관된 지원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있다”면서 “이를 무 자르듯 분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단체 한 관계자는 “일부 기초연구를 무리하게 분리할 경우 사업 지원방식 등 변경에 따라 연구 현장의 갈등과 혼란이 촉발될 수 있다”면서 “기초연구 성과를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로 연계하려는 새 정부 국정 철학에 비춰 미래부가 전담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