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 취임사에 무슨 내용 담나… 든든한 안보·창조경제 역설, 대한민국 한 단계 도약 천명

입력 2013-02-24 19:06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낭독할 취임사에는 든든한 안보와 창조경제를 통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는 대한민국 청사진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그동안 국민에게 해 왔던 약속과 공약이행에 대한 다짐이 주축이 될 전망이다.

취임사준비위원회를 구성해 새 정부의 시대적 과제와 국정 목표를 토론하고 담았던 역대 정부와 달리 박 대통령은 준비위를 별도 구성하지 않았다. 대신 오랫동안 자신의 연설문을 담당했던 정호성 전 비서관과 최진웅 전 선대위 메시지 팀장의 실무 지원을 받으며 박 대통령 자신이 직접 연설문을 챙겨온 것으로 전해졌다. 연단에 오르기 직전까지도 원고를 고치고 또 고치는 박 대통령의 스타일이 이번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고 한다. 측근은 24일 “자택에서 취임사 준비에 상당한 공을 들이며 시간을 보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국민 행복을 여는 희망의 새 시대’를 국정 목표로 제시하며 든든한 안보와 창조 경제의 두 축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행복’은 대선 캠페인 때부터 국가 중심에서 국민 중심으로 국정운영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며 강조해 왔던 키워드다.

여성이지만 강한 대통령의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 든든한 안보를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북한의 3차 핵실험으로 어느 때보다 위기감이 고조된 만큼 강한 대북 기조의 메시지가 담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선인 시절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단순한 유화책이 아니라고 주창한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북한을 향해 분명한 국제사회 일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하라는 목소리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더불어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각 경제 주체의 책임과 분발을 촉구할 수 있다. 인수위원회의 국정목표 제시 과정에서 경제민주화 후퇴 논란 등을 의식해, 공약 이행에는 변함이 없다는 의지를 재천명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창출과 비정규직 보호, 가계부채와 대학등록금 부담 완화, 경제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등의 구상도 담길 것이란 분석이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