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전설비 15년간 1580만㎾ 증설, 원전 추가 건설 여부는 더 검토…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입력 2013-02-22 19:29

정부가 전력수요 증가에 맞춰 15년간 화력발전 설비 1580만㎾를 증설하기로 했다. 원자력 발전소 추가 건설 여부는 더 검토한 뒤 결정한다.

지식경제부는 22일 전력정책심의회를 열어 2027년까지의 정책을 담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2027년 여름에 최대전력수요가 1억2674만㎾에 달하므로 발전소를 증설해 2957만㎾의 설비 용량을 늘릴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이를 위해 석탄 1074만㎾(6개 발전사·12기), LNG 506만㎾(6개사·6기) 등 화력발전설비 1580만㎾를 2027년까지 증설하는 각 발전사업자의 건설 의향을 계획에 반영했다. GS EPS, 대우건설, SK E&S, 현대산업개발, 동부하슬라, 동양파워, 삼성물산, SK건설 등 민간 발전사의 화력발전 계획이 다수 반영됐고 공기업은 남동·중부·남부·서부발전 등 4곳만 수용됐다. 이에 대해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은 전력산업 민영화라고 비판했다.

또 수력·태양력·풍력 등을 이용한 신재생 설비로 456만㎾를 채울 예정이다.

그러나 원전 추가 건설은 결정을 미뤘다. 한국수력원자력이 추진 의향을 밝힌 원자력발전소 4기(600만㎾)를 계획에 반영할지에 대한 판단은 보류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민 불안이 커진 점을 고려한 것이라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전력예비율을 높여 공급을 안정시키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는 것을 6차 계획의 주요 정책 목표로 삼았다.

지경부는 올해 여름까지는 수급불안이 있지만 내년 이후에는 설비 예비율이 16%를 넘어 상황이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에너지원별 설비용량을 보면 2027년에 유연탄 28.2%, 원전 22.7%, 신재생에너지 20.2%가 된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