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韓銀 총재 “환율 변동폭 낮추며 균형점 도달하는데 관심”
입력 2013-02-22 19:03
한국은행과 금융 당국이 외환시장에 연일 구두경고를 하고 나섰다. 일본의 지속적인 엔저 정책으로 인해 국내 환율이 불안해지자 적극 대응에 나선 모습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선제적이고 효과적인 외환시장 안정 대책’을 언급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시중은행장들과 가진 금융협의회에서 “환율은 다른 가격변수와 달리 과잉반응을 하는 경향이 있다”며 “(외환시장의) 진폭과 변동폭을 낮추면서 균형점에 적절히 도달할 수 있느냐가 가장 큰 관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것이) 불확실성 속에 사는 우리 환경을 규정하는 정책, 전략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최근 엔저 현상으로 인해 흔들리는 외환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어떻게든 찾아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또 “양적완화 등 정책이 변하면 그 나라들이 과잉반응하며 우리도 시계추처럼 왔다갔다한다”고 토로했다. 그는 “(양적완화 국가들이) 워낙 큰 나라이니 마음 같아선 1대 1로 정책 대응을 하고 싶어도 비용이 굉장하다”면서 “현명하게 움직임을 파악해 대응 비용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앞서 경제동향 간담회에서 “시장의 환율 변동성을 이용해 투기하는 행위는 어떤 형태로든 막아야 한다”며 외환시장 직접 개입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전날 열린 전국 최고경영자 연찬회에서 “엔화 약세로 주변 국가의 환율 분쟁이 시작됐다”며 “독일의 경우 수출경쟁 때문에 일본의 엔저 정책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데 어쩔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기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 환율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며 원고 현상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외환시장은 김 총재와 권 원장의 연이은 발언을 박 당선인의 환율정책에 발맞추려는 행보로 본다. 박 당선인은 지난 20일 “환율 안정이 굉장히 중요한 상황이라는 것을 잘 안다”며 “선제적으로,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은과 금융 당국의 연이은 환율 관련 발언은 외환시장에서 환율 규제가 한층 강화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단기 국외투기자본을 억제하기 위한 대책으로 ‘한국형 토빈세’(해외 자본의 급격한 유출입을 막기 위한 금융거래세) 도입이 현실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 수장들의 잇따른 환율 구두개입에도 불구하고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50원 내린 1084.7원으로 장을 마쳤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