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용산사업개발 추가 지원 거부

입력 2013-02-21 22:19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최대주주인 코레일이 3073억원 규모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을 위한 ‘반환확약서’ 제공을 거부했다.

코레일은 21일 열린 이사회에서 ABCP 발행을 위한 반환확약 요청 건에 대해 부결 처리했다고 밝혔다. ABCP는 용산사업이 무산될 경우 민간출자사들이 코레일로부터 돌려받게 되는 토지대금 등 3073억원을 담보로 3000억원을 발행하는 구조다.

코레일은 “이사회에서는 코레일이 반환확약에 동의해줄 아무런 법적 의무가 없고 부도 위기를 1∼2개월 미루는 임시방편에 불과한 자금지원은 할 수 없다고 13명의 이사 전원이 반대했다”고 설명했다.

코레일 측은 “3차 협약서 추가합의(2011년 8월 1일)에 따른 2012년 3월까지의 제2차 전환사채 2500억원 발행 실패가 용산역세권 개발사업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사업정상화를 위해서 코레일의 희생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민간출자사의 성실한 협약 이행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용산개발사업 최대주주인 코레일이 반환확약서 제공을 거부함에 따라 사업 부도 가능성도 높아지게 됐다. 30조원 규모의 초대형 프로젝트인 용산개발사업은 현재 운영자금이 9억원밖에 남지 않아 다음달 12일 돌아오는 채권이자 59억원을 갚지 못하면 부도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용산개발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는 이사회를 열고 사업방식 변경과 관련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민간출자사들이 지난 18일 기존의 통합개발보다는 단계적으로 용산권을 개발하자는 코레일의 사업 방식 변경 주장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부도를 막기 위한 극적인 합의를 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지만, 코레일이 추가 자금 지원은 더는 없다고 밝힌 상황이라 과정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레일은 드림허브의 2대 주주이자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의 70% 지분을 갖고 사실상 용산사업을 주도해온 롯데관광개발에 사업 포기를 압박하고 있다. 롯데관광개발은 경영권을 쥐고 사업을 주도했지만 자금 여력과 건설개발사업 측면에서 능력과 자격이 없어 사업에서 손을 떼는 게 맞는다는 것이 코레일 측 주장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