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박근혜 정부 출범 앞두고 으름장… “남한 최종파괴” 경고 왜?
입력 2013-02-20 18:56
3차 핵실험 전후로 미국을 타깃 삼아 위협 강도를 높이던 북한이 최근 남한으로 그 방향을 돌리고 있다.
북한 대표는 19일 유엔 산하 다자 간 군축협상기구인 제네바 군축회의에서 “3차 핵실험 이후에도 2차, 3차 조치를 할 수 있다”면서 “남한을 ‘최종파괴(final destruction)’하겠다”고 위협했다.
북한은 전통적으로 핵무기 개발을 미국의 적대시 정책에 따른 자위적 조치라고 설명하면서 핵을 배경으로 남측을 직접 위협하지는 않았다. 때문에 남한을 직접 거론하며 핵 공격을 전제로 한 최종파괴라는 거친 언사까지 사용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라는 해석이다.
실제 북한은 지난 12일 핵실험 전후로 남한 정부를 배제하고 미국을 대상으로 성명과 논평을 쏟아냈다. 핵실험이 실시되기 전에도 “핵시험은 미국을 상대로 한 것”이라고 예고했고 핵실험 당일 조선중앙통신 발표보도를 통해서도 “미국의 포악무도한 적대행위에 대처하기 위해”라고 밝히기까지 했다. 다음 날인 13일에도 “우리의 핵 억제력 강화는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에 대응한 실제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지난 15일 이명박 대통령의 북한의 ‘레짐 체인지(regime change·정권교체)’ 발언 이후 미국에 대한 비난은 줄이며 대남 비판 강도를 높이고 있다. 노동신문은 같은 날 “남조선 괴뢰패당들이 대북제재 강화로 나간다면 무자비한 보복타격을 유발시키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6일 이 대통령의 정권교체 발언에 대해 “민족반역자의 최후발악”이라고 비난했다.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은 표면적으로는 이 대통령 발언이 발단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핵실험 이후 미국이 당근보다 채찍을 준비하는 모양새를 보이자 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위협전술을 쓰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남한 비판 강도를 최대치로 높인 뒤 차기정부가 출범하면 이를 완화하는 유화적 제스처를 쓰려 한다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20일 “핵실험 이후 미국으로부터 충분히 얻어냈던 과거 전례가 이번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불안감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