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中 해킹공격 대응 ‘사이버 보안동맹’ 추진
입력 2013-02-20 22:24
일본 정부가 외국의 사이버 공격에 대비해 ‘사이버 방어 국제제휴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동남아국가와의 외교 관계 강화에 이어 사이버 공간에서도 중국 포위 전략을 가동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20일 일본 언론에 따르면 총무성은 최근 다른 나라들과 해킹 정보 및 분석 공유를 한층 가속화하고 있다. 이달 초에는 태국 전자거래개발청과 제휴했고, 아세안 국가들과도 사이버 보안 분야의 다자 공조를 추진 중이다. 미국, 몰디브와의 제휴도 사실상 합의 단계에 와 있다. 여기에 9월 열리는 사이버보안 정책회의를 계기로 캄보디아와 미얀마 등 정보통신 취약국에도 사이버 보안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일본이 중점 개발하는 보안시스템은 해커들을 상대로 한 역발상 전략으로 운용된다. 보안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미끼 프로그램을 컴퓨터서버에 입력한다. 이후 서버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를 감지하면 격리된 서버에 바이러스를 가둬 활동을 관찰하는 방식이다. 일본은 이 시스템을 제휴 국가들과 공유해 해외에서 발생한 컴퓨터 바이러스가 일본에 침투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의 사이버 방어 국제제휴는 새로운 차원의 중국 견제전략으로 평가된다. 일본 정보통신연구기구(NICT)는 지난해 일본 정부기관과 기업체를 노린 사이버 공격이 78억건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NICT 관측용 센서는 당시 최대 발신처를 중국이라고 지목했다.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을 놓고 중·일 갈등이 고조되던 지난해 9월 일본 총무성 통계국이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을 받았을 때도 트래픽의 95%가 중국발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총무성은 지난 5일 ‘정보보안 자문위원회’를 신설, 보안 사업의 해외진출을 다각도로 검토하기로 결정했다. 학자 및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되는 위원회는 내각 ‘정보통신기술(ICT) 성장전략회의’의 하부조직이다. 산하에 실무진 중심의 상근 워킹그룹도 둘 계획이다. 총무성은 앞서 2011년 5개년 계획을 세워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민관합동 정보관측 시스템 연구를 해왔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