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독도 ‘청정·무공해 섬’ 조성 좌초 위기

입력 2013-02-19 19:39

울릉도와 독도를 저탄소 녹색성장의 모델인 ‘청정·무공해 섬’으로 조성한다는 경북도의 목표가 좌초 위기에 놓였다.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이 무산되고 당초 계획한 일부 사업은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19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당초 2011년부터 20년간 5039억원을 투입해 울릉도와 독도 일원을 녹색섬으로 조성키로 했다. 태양광과 풍력, 지열, 소수력 등 신(新)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주요사업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자원이 확보될 경우 전기자동차와 에코트레일을 보급해 그린 에너지와 함께 관광자원화 한다는 방침이었다. 하지만 작년 지식경제부 소관 사업 3748억원을 예비타당성 조사에 반영해줄 것으로 신청했으나 지경부 심의에서 반영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전체 사업의 일괄 추진은 어렵다고 판단, 단위사업별로 예산확보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지열발전을 위한 시추(試錐)와 경제성 여부 판단에 당장 7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지만 이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지경부도 별도 예산이 없어 다른 사업 예산을 일부 지원키로 했다가 지금은 보류한 상태다.

풍력과 태양광 발전은 현재 기술로는 육지보다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울릉도는 바람이 일정하지 않고 해무(海霧)가 많이 껴 지열발전 이외에는 마땅한 신재생에너지원이 없는 셈이다.

경북도는 올해 지능형 전력망 구축(40억원), 지열발전소 건립에 따른 핵심 녹색에너지섬 기반구축(1570억원), 울릉도 녹색섬센터 건립(50억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도는 녹색섬 조성사업의 1차 목표가 에너지 자원인 만큼 지열발전이 가능성만 있다면 가장 큰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지열발전소가 없어 상용화할 경우 관광자원화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경북도 에너지정책과 관계자는 “정권 교체기에 정부 조직 개편까지 맞물리면서 중앙부처와 협의가 여의치 않다”며 “3월부터 다시 지열발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추 예산 확보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