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인선 마무리] 朴 당선인 밀봉인선… ‘나홀로 인사’ 후유증, 검증 부실에 대탕평 공약 무색

입력 2013-02-19 19:20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첫 청와대·내각 인선이 19일 마무리됐지만 후유증이 계속되고 있다. 당선 이후 두 달여간 드러난 박 당선인의 인사 방식에 대한 뒷말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선 인재풀이 지나치게 협소하다는 지적이다. 박 당선인은 그동안 ‘100% 대한민국’ ‘대탕평 인사’를 약속해 왔다. 하지만 인선 결과를 보면 그런 약속이 무색하다. 대선 캠프 인사와 친박근혜계 인사, 대통령직인수위원 출신이 내각과 청와대에 대거 포진했다.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는 지난해 총선 당시 새누리당 공천심사위원장이었고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 내정자는 원조 친박 좌장격이다. 이정현 정무수석 내정자,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 등도 핵심 친박 인사다.

출신지역과 출신학교, 성별 안배에도 실패했다는 평가다. 성균관대 출신이 국무총리, 청와대 비서실장, 정무수석, 법무부 장관 등 요직에 후보로 지명되거나 내정됐다. 지역적으로도 박 당선인과 국무총리, 비서실장 모두 영남 출신이다. 일부 후보자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당시 고위직의 자녀여서 ‘2세 정치’ 논란도 일고 있다. 헌정 사상 첫 여성 대통령임에도 17개 부처 장관 후보자는 중 여성은 단 2명뿐이다.

‘밀봉’ ‘깜깜이’ 인사 스타일은 인수위원회 활동 기간 내내 고수했다. 어떤 직책이, 언제 발표될지는 최측근들도 ‘조짐이 없다’ ‘잘 모른다’고 말할 정도였다. 윤창중 대변인은 지난 12일 다른 현안으로 기자들과 대화 중 박 당선인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인선 발표 일정을 잡는 촌극을 빚기도 했다. 대변인이 인사를 발표하면서도 인선 배경은 물론이고, 내정자의 인적사항도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폐쇄적인 인사는 부실 검증으로 이어졌다. 첫 인선이었던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재산 증식, 두 아들의 병역 면제 의혹으로 청문회도 열리기 전에 자진사퇴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박 당선인과 협의 하에 지명한 것으로 알려진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도 개인 비리로 물러났다.

박 당선인은 여야의 정부조직 개편안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음에도 장관 후보자를 강행 발표했다. 야당이 반발하면서 정권 출범도 전에 여야 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런 ‘나홀로’ 독불장군식 인사 방식을 고집한다면 5년 내내 논란이 되풀이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인사 스타일을 보면 결국 박 당선인이 ‘혼자서 모든 것을 다 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며 “인사 스타일 이전에 정치 스타일의 문제이기 때문에 쉽게 개선되기 어려워 보인다”고 지적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