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당대회 5월 4일 개최 결정

입력 2013-02-18 22:24

민주통합당은 5월 4일 정기 전당대회를 열어 임기 2년의 새 지도부를 선출키로 결정했다. 이 결정에 비주류는 “주류의 꼼수”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18일 오후 영등포 당사에서 비대위원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정성호 대변인이 밝혔다. 당내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비대위 측에 제안한 ‘3월 말∼4월 초 임시 전당대회를 통한 임기 1년6개월 지도부 선출안(案)’과는 전혀 다른 안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민주당 주류는 대선 패배를 추스른 뒤인 5월 이후 가급적 늦게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선출된 지도부의 임기도 전임 지도부의 잔여임기인 내년 1월까지로 짧게 하자는 안을 선호했다. 반면 비주류는 주류의 대선 패배 책임을 심판할 수 있도록 전대를 3∼4월 조기에 개최하고, 이때 뽑힌 지도부가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책임지고 치를 수 있도록 임기를 길게 보장하자고 요구해 왔다.

얼핏 보면 비대위 결정은 주류의 5월 전대론과 비주류의 장기(長期) 임기를 절충한 듯하지만 비주류 쪽에서는 사실상 주류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비주류인 한 재선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임시 전대가 아닌 정기 전대를 치르면 각 지역위원회(지구당)의 대의원을 교체토록 돼 있다”며 “지금은 비주류가 주류보다 더 많은 지역위원회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인데, 주류가 이를 뒤집기 위해 정기 전대라는 꼼수를 쓴 것”이라고 비판했다. 실제 지난해 6월 전대에서는 이해찬 전 대표가 지역위원회 대의원단 투표에서 패배하고도 모바일투표에서 김한길 전 최고위원을 크게 앞서 당 대표로 선출됐다.

이에 따라 이번 결정을 놓고 비주류가 재차 공개 반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비주류는 문희상 현 비대위원장도 범(汎)주류로 분류하고 있어 공정성 시비도 일 전망이다. 민주당은 이날 회의에서 경선룰의 또 다른 쟁점인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여부와 모바일투표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역시 향후 논의 과정에서 진통을 예고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