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공무원 청렴도 민선 5기 이후 급락
입력 2013-02-18 19:16
광주시 공무원들의 청렴도가 민선 5기 이후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 4기 마지막 해인 2009년 전국 16개 시·도 중 1위를 기록했던 청렴도는 지난해의 경우 8위로 급락했다.
광주시 감사관실은 18일 “최근 3년간 공무원들의 각종 비리·비위에 따른 징계건수가 2010년 12건에서 2011년 29건에 이어 지난해 33건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구체적 징계사유는 음주·교통사고 10건, 청렴위반 9건, 업무소홀 7건, 폭력·상해 3건 등이다.
2010년 출범한 민선 5기 들어 공무원에 대한 징계건수가 급증하면서 대형 현안사업들도 중단되거나 차질을 빚었다. 80억원의 혈세낭비 논란을 불러온 한미합작투자사업(갬코), 개청 이후 최대 비리사건으로 불거진 총인처리시설 입찰비리, 법정소송으로 번진 CCTV통합관제센터 구축 등이다.
시의 청렴도는 2009년의 경우 국가권익위원회 조사 결과 10점 만점에 9.41점으로 전국 16개 광역단체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0년 5위로 하락했고, 2011년 4위로 한 계단 올라섰다가 대규모 입찰비리가 불거진 지난해 다시 8위로 4단계 추락했다.
시와 종합건설본부 등은 올 들어 청렴다짐 결의대회를 개최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는 지적이다. 시는 지난 1월 14일 설계심의분과위원들을 상대로 청렴교육을 겸한 결의대회를 가졌다. 시 종합건설본부도 지난달 29일 건설현장 책임자들을 참석시켜 ‘클린 건설행정’ 구현을 다짐하는 결의대회를 열었다. 광주시의 대표적 공기업인 도시공사는 이달 초 공사·용역업체 등에게 ‘청렴서한문’을 발송했다.
시 감사관실은 공무원 내부비리를 감사관에게 직접 고발하는 핫라인(062-613-8298·빨리 고발)을 활성화하는 등 부정부패를 방지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시 감사관실 관계자는 “입찰비리에 연루된 공무원들이 무더기 징계를 받아 청렴도가 하락할 수밖에 없었다”며 “올해는 다양한 청렴정책을 추진해 유사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