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급물살 타나

입력 2013-02-18 18:58

현오석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이 청문회를 무사히 통과해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오르면 우리금융 민영화가 급물살을 탈 것이란 전망이다.

금융권에서는 현 후보자가 우리금융에서 사외이사를 했던 전력이 있어 연내 민영화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본다. 우리금융은 현 후보자가 2003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우리금융지주 사외이사를 지냈다고 18일 밝혔다. 사외이사 첫 임기가 끝나던 2004년에 현 후보자는 당시 사외이사 6명 중 유일하게 재추천되면서 우리금융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

우리금융은 연내 민영화 의지가 강하다. 이팔성 회장은 지난달 민영화 관련 질문에 “가능성을 100%로 본다. 올해 안에는 되지 않겠느냐”고 말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현 후보자에 거는 기대가 한층 커지고 있다. 우리금융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다른 사람보다 여기(우리금융)에 있던 사람인 만큼 신경을 쓰지 않을까 한다”며 “직접적으로 나서진 않더라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도 현 후보자와 우리금융의 관계를 볼 때 연내 민영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현 후보자가 우리금융 내부 사정을 속속들이 알고 있는 만큼 최대 현안인 민영화에 힘을 실어주지 않겠느냐는 분석이다.

여기에다 우리금융 민영화는 거액의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일이기도 해 새 정부 경제부총리가 관심을 쓸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 지원과 복지확대에 따른 재원 마련을 위해 공적자금 회수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에 들어간 공적자금은 12조7663억원이다. 이 가운데 정부는 지난해 4월 말까지 5조6188억원(배당금 포함)을 거둬들여 회수율 44%를 기록하고 있다. 아직 회수하지 못한 돈만 7조1475억원에 달한다.

다만 초대형 매물인 데다 경제침체가 계속되고 있어 매수자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도 있다. 우리금융은 자산 400조원에 매각 추정가격이 7조원에 이르는 대형 매물로 이명박 정부에서도 세 번이나 민영화를 시도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