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실험 강행한 북한 징벌해야… 북핵 책임 美·中 모두에 있다” 중국인들의 달라진 對북한 여론
입력 2013-02-18 22:11
북한이 지난 12일 핵실험을 감행한 지 일주일이 지나면서 과거와는 뚜렷이 대비되는 두 가지 흐름이 가시화되고 있다. 중국 내에서 반북 여론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게 그 첫째고 중국책임론과 미국책임론을 놓고 중국 안팎에서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게 둘째다.
북한의 도발적인 태도를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지적은 인터넷 등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북한핵에 반대하는 시위까지 벌어진 것은 일찍이 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뚜렷해진 반북(反北) 여론=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18일 사설에서 “중국은 북한의 동맹국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어느 순간에도 주동적으로 이 나라의 적이 돼서는 안 된다는 게 마지노선”이라고 말했다.
사설은 또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을 응당 ‘징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한·미·일·EU의 대북 제재 수위보다 높아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환구시보가 17일 사설에서 “중국은 평양이 어느 정도 불쾌해하더라도 원조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던 데 대해 그 수위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동맹국이 아니라든가 북한을 징벌해야 한다는 어휘 구사는 분명 자극적”이라면서도 “이는 국내외를 동시에 의식한 이중적 표현”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무게 중심은 제재를 심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쪽에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랴오닝, 광둥, 지린성 등에서 북한 핵실험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진 것은 중국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에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주목된다. 이러한 상황은 시진핑(習近平) 총서기를 비롯한 현 지도부에도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중국책임론 vs 미국책임론=중·미 책임공방은 주로 양국 언론 사이에 벌어지고 있다. 중국책임론을 제기하는 일부 중국 전문가들도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중국어판 홈페이지는 지난 13일 “중국이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와 ‘전략적 완충지대’ 개념에 사로잡혀 북한의 핵 개발을 저지할 기회를 허비했다”고 지적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에 대해 16일 “일부 서방 매체들이 저의를 갖고 중국에 구정물을 쏟고 있다”면서 “대북 정책을 심각하게 되돌아봐야 할 나라는 중국이 아니라 미국”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이 북한을 적대시하는 정책이 북한의 핵개발을 촉진시켰다는 논리다.
그러나 환구시보는 16일 “중국의 대북정책이 성공했다고는 볼 수 없다”고 어려워진 상황을 시인하기도 했다. 잡지 ‘중국군사’ 편집장 우거는 지난 12일 왕이군사망에 기고한 글에서 “중국이 북한 핵에 잘못 대응해 북한은 중국이 활용할 수 있는 패가 아니라 오히려 거꾸로 됐다”고 지적했다.
한편 훙레이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북한이 연내 추가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계획을 중국에 통보했다는 로이터통신의 15일 보도에 “어디에 근거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북한의 추가 핵실험 통보설을 일축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