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靑 추가 인선] 朴 친정체제, 힘 실리는 청와대

입력 2013-02-19 00:09

박근혜 정부의 권력 핵심인 청와대 진용이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청와대 비서진에 자신과 가까운 인물들을 집중 배치해 ‘친정 체제’를 구축했다. 내각에 관료와 전문가 출신이 대거 포진한 것과 대비된다. 내각과 청와대의 색깔이 확연하게 구분된다는 평가다.

특히 박 당선인이 낮은 청와대를 지향하겠다고 했지만 청와대 비서실장이 장·차관의 인선을 다루는 인사위원회를 관장하게 돼 벌써부터 청와대에 힘이 실린다는 분석이다. 박 당선인은 새 정부 출범을 일주일 앞둔 18일 첫 비서실장에 3선을 지낸 친박근혜계 중진 허태열(68) 전 의원을 내정했다. 또 국정기획수석에 유민봉(55) 인수위 국정기획조정분과 간사, 민정수석에 검찰 출신의 곽상도(54) 변호사, 홍보수석에 이남기(64) SBS미디어홀딩스 사장을 각각 발탁했다. 이로써 지난 8일 먼저 발표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 박흥렬 경호실장 내정자와 함께 장관급 실장 3명과 수석비서관 3명이 확정됐다. 나머지 6명의 수석비서관도 2∼3일 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박 당선인은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정무감각을 지닌 중량감 있는 원외 인사를 물색해 왔다. 정홍원 총리 후보자가 비정치인이기 때문에 비서실장은 국회와의 관계를 고려해 정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또한 인사위원회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행정 경험을 갖춘 중량감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는 점도 고려됐다. 이런 기준에서 볼 때 허 내정자가 적임자라는 얘기가 이미 인수위 주변에서 흘러나왔다.

청와대 비서실 인사에는 박 당선인의 국정운영 구상이 잘 드러나 있다. 전날 발표된 내각 인선의 경우 측근 정치인 기용을 최대한 배제하고, 관료 및 전문가 중심으로 배치했지만 청와대 비서실은 자신의 뜻을 잘 알고, 같이 일해본 사람 중심으로 진용을 짠 것이다.

내각은 각 부처 장관들에게 인사권과 정책 결정권을 주되 그에 상응한 책임을 묻는 책임장관제로 운영하고, 비서실은 박 당선인의 의중을 내각에 전달해 국정 철학이 정책에 잘 반영되도록 견인하는 역할을 맡게 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박 당선인의 인사를 종합해볼 때 적재적소에 인력을 배치하는 능력 위주의 인사를 했다고 하지만 대통령과 총리, 비서실장이 모두 영남 출신이라는 점에서 국민통합의 대탕평 인사에 대한 기대에는 못 미쳤다는 평가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부산 출신의 박관용 비서실장을 기용하면서 호남 출신의 황인성 총리를 지명했고 이명박 대통령도 경북 출신의 류우익 비서실장을 임명했지만 강원 출신의 한승수 총리를 발탁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김종필 총리(충청)와 김중권 비서실장(영남)을, 노무현 전 대통령은 고건 총리(호남)와 문희상 비서실장(경기)을 각각 기용하면서 새 정부 출범에 즈음한 정치적 메시지를 던졌다. 박 당선인의 집권 초반 국정 운용에 부담이 될 수 있는 대목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