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신규 LTE 주파수 할당 신경전… 향후 시장 판도에 큰 영향

입력 2013-02-18 22:41

롱텀에볼루션(LTE) 주파수 할당을 둘러싸고 이동통신사들이 각 사에 유리한 방안이 채택되도록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주파수 할당에 따라 향후 LTE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18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LTE 주파수 할당과 관련한 업계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현재 방통위는 올 4월 1.8㎓, 2.6㎓ 주파수 대역을 놓고 경매에 들어갈 방침이다. 방통위는 19일 논의를 거쳐 오는 20일 전체회의에 주파수 할당을 상정할 것인지, 차기 정부에 넘길 것인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현재 제시된 LTE 할당계획안은 3가지다.

1안은 1.8㎓ 대역을 LG유플러스에 할당하고, 2.6㎓에서 SK텔레콤과 KT에 각각 20㎒씩 광대역 주파수를 할당하는 안이다. 2안은 1.8㎓에 1개, 2.6㎓에서 2개의 광대역 주파수 블록을 만드는 안이다. 3안은 1.8㎓과 2.6㎓에서 각각 2개의 광대역 주파수 블록을 만드는 방식이다.

현재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1안, KT는 3안을 지지하고 있다. 각 사가 서로 다른 안을 지지하는 데는 ‘황금 주파수’라 불리는 1.8㎓를 이통 3사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KT는 LTE 전국망, SK텔레콤은 LTE 보조망으로 1.8㎓를 쓰고 있다. LG유플러스는 2세대(2G)망으로 사용하고 있다. 3안을 채택할 경우 KT는 기존 LTE 서비스에 활용 중인 1.8㎓의 인접대역까지 추가로 받아 곧바로 광대역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해지지만 나머지 두 회사는 광대역화에 시간이 걸린다.

이날 토론회에서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측은 “공정경쟁을 해치는 KT 몰아주기”라며 3안을 반대했다.

반면 KT는 “(우리가) LTE 대역과 인접해 있다는 이유만으로 1.8㎓의 특정 대역을 할당에서 제외한다면 이는 명백한 재벌 밀어주기”라며 반박했다.

전문가들은 사업자 간 이해관계가 첨예한 사안이라 결론을 내리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방통위 상임위원들은 3사 임원과 교수 등을 초청해 논의한 심층 간담회를 개최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